Surprise Me!

준공 물량·미분양 '동반 감소'...여전한 공급 부족 / YTN

2021-11-01 1 Dailymotion

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각종 공급 대책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실제로 공급이 이뤄진 물량은 1년 전과 비교해도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물량이 워낙 부족하다 보니 전국의 미분양 주택도 빠르게 줄어드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들어 집값은 그야말로 무시무시한 속도로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초 6억 3천만 원에 조금 못 미쳤던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맷값은, 지난달 7억 7천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20% 넘게 폭등한 겁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불안이 가시질 않자, 정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공급을 확대한다는 말로 시장을 달랬습니다. <br /> <br />[노형욱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달 28일) : 공급에 대한 확신이 필요할 텐데요, 그동안 해오던 공급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실제 공급은 얼마나 이뤄졌을까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지난 9월까지 준공한 주택은 27만 4천여 가구로, 1년 전보다 24.6%나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실수요자가 선호하는 아파트로만 좁혀보면, 무려 30%가 넘게 쪼그라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입주할 수 있는 주택 자체가 부족하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인허가와 착공 실적은 늘었지만, 실제 입주가 이뤄지려면 인허가 이후 적어도 4~5년, 착공 후에는 3년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, 지금의 물량 부족을 해결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공급 부족이 길어지면서 미분양 주택도 빠르게 줄어드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9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만 3,800여 가구로, 다시 한 번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서울 55가구 등, 1,400여 가구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: (시차가 발생하기) 때문에 단기 시장 안정에는 효과가 제한적입니다. 따라서 1~2년 정도의 단기 주택가격은 입주물량과 기존 주택시장에서의 매물 추이 등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단기간에 공급을 대폭 늘리긴 어려운 만큼,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선 다주택자의 매물을 유도하기 위한 조세 정책 등을 서둘러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입니다.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0206263076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