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37만원이 3원으로…오겜 테마 가상화폐 결국 사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등장한 '오징어게임 테마' 가상화폐는 드라마의 전 세계적 인기에 힘입어 주목을 받아왔는데요.<br /><br />이 가상화폐 가격이 폭락했는데, 알고보니 개발자들이 현금화해 도망갔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사기였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넷플릭스의 한국 드라마 '오징어게임'을 테마로 한 가상화폐 '스퀴드'<br /><br />가상화폐에 대한 설명이 망라된 백서 웹사이트가 사라졌고, 트위터 계정에도 주의 딱지가 붙여졌습니다.<br /><br />한때 코인 한 개 가격은 330만 원 넘게 올랐다가 3원대로 급전직하 폭락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가상화폐 개발자들이 가상화폐를 현금화하는 방식으로 훔쳐 달아난 것으로 보인다고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발밑의 카펫을 갑자기 잡아뺀다는 뜻의 '러그 풀' 수법으로, 우후죽순 격으로 난립하고 있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종종 일어나는 사기 방식입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0일 사전 판매에 들어간 스퀴드는 드라마의 선풍적인 인기에 힘입어 주목을 받아왔습니다.<br /><br />개발자들은 드라마에 등장하는 각종 게임을 온라인에서 토너먼트로 진행할 예정이라며, 이때 참가비와 상금으로 스퀴드가 쓰인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출범 초기부터 사기의 신호는 곳곳에서 감지됐습니다.<br /><br />백서에는 오탈자가 수두룩했고 투자자들은 스퀴드를 살 수만 있을 뿐 팔지는 못하게 설계됐습니다.<br /><br />또 넷플릭스 측은 이 가상화폐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전 세계 암호화폐 정보를 제공하는 코인마켓캡은 이 가상화폐를 살 때는 '극도로 주의를 기울이라'는 경고문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개발자 측은 텔레그램 계정을 통해 이번 일은 모두 해커들 때문이라며 책임을 돌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