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뿐만 아니라 전세계 시장과 항공길도 되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연말 소비심리가 폭발적으로 되살아나고 있는 미국은 일할 사람이 없어 난리입니다. <br> <br>화물차 운전기사에 이어 식당 종업원과 택시기사까지 사람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데요. <br> <br>심지어 승무원이 부족해서 지난 주말 항공기 1천 7백편 이상이 운항 취소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심각한 구인난 이유를 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한인이 운영하는 식당에 종업원 모집 공고가 붙어있습니다. <br><br>적지 않은 시급과 좋은 근무 환경을 내세우고 있지만, 지난 여름부터 몇 개월째 종업원을 구하지 못한 상태입니다. <br> <br>면접 날짜에 안 나타나는 '노쇼'는 기본, 한 달도 못 버티는 직원이 대부분입니다. <br> <br>[고희정 / 아시안 식당 운영]<br>"저렇게 밖에 붙여놓은 공고를 보고 오는 사람은 정말 드물어요. 거의 없다고 보시면 돼요. 와도 '설거지만 하겠다, 다른 것은 안 하겠다, 그냥 설거지만.'" <br> <br>식당에서 시간제로 일했던 주부들도 구직을 포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고희정 / 아시안 식당 운영] <br>"베이비시터를 구하는 시급이 엄청 올랐다고 하더라고요. 베이비시터 페이(지불)를 하느니 그냥 내가 집에서 애를 보는 게 훨씬 싼 거죠." <br> <br>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비는 빠르게 회복하고 있지만, 정작 매장을 돌릴 인력이 없는 현실. <br> <br>왜 그런지 종업원에게 직접 물어봤습니다. <br> <br>코로나 감염 우려도 있지만, 실업 수당 등 미국 정부가 뿌린 각종 지원금도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><br>[에릭 / 아시안 식당 종업원] <br>"사람들이 실업 수당을 받으니 일터로 돌아가지 않습니다. 이미 주머니에 돈이 있으니 빨리 복귀하지 않게 만드는 거죠." <br> <br>일단 해고된 직원들은 다시 저임금 일자리로 돌아올 생각을 안 합니다. <br> <br>[마테오 / 이탈리안 식당 운영] <br>"사람들이 일했던 식당이 (팬데믹으로) 문을 닫았었고, 결국 다른 직업을 찾아 떠나야 했죠. 그들이 (식당으로) 돌아오질 않은 겁니다." <br> <br>종업원만 채운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닙니다. <br> <br>물류대란으로 식재료가 제때 도착하지를 않아 재고가 바닥날 정도입니다. <br> <br>[마테오 / 이탈리안 식당 운영] <br>"40달러 하던 튀김용 기름이 지금은 60달러입니다. 미국산 주류조차 입고가 잘 안 되고 있어요. 트럭과 기사가 부족하니까요." <br> <br>전방위적으로 확산된 인력난은 교통대란으로 번졌습니다. <br><br>감염 우려로 운전자는 줄고, 기름값은 천정부지로 오르다 보니 택시비는 2년 전보다 30% 가까이 올랐습니다.<br> <br>항공 인력도 부족해 지난 주말 미국 1700여 대의 항공편이 취소돼 예약자들은 발을 굴러야 했습니다. <br> <br>[안킷카푸르 / 탑승객] <br>"통제 불능의 상황입니다. 많은 사람에게 끔찍한 일입니다." <br><br>"구인난에서 시작된 물류대란과 물가 급등, 교통 차질까지 포스트 코로나의 길을 걷고 있는 미국 경제가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" <br> <br>유승진 워싱턴 특파원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김미현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