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5개국 정상들 "산림파괴 중단"…일부 성과 속 한계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, COP26에 참가한 100여 개국 정상들이 산림 보호와 메탄 감축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각국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획기적 합의는 없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정선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, 팔라우의 대통령이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해 전 세계가 시급히 나서야 한다고 호소합니다.<br /><br /> "주요 20개국(G20) 정상 여러분. 우리는 물에 빠져 죽어가고 있습니다. 우리의 유일한 희망은 당신들이 들고 있는 구명환입니다."<br /><br />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모인 105개국 정상들은 '산림·토지 이용선언'을 통해 2030년까지 산림 파괴를 멈추고 토양 회복에 나서기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선언에는 정상회의에 불참한 중국, 러시아도 동참했습니다.<br /><br />의장국인 영국은 한국의 336배에 해당하는 산림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선언은 유례없는 합의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숲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숲이 다시 과거처럼 돌아갈 수 있도록 우리 함께 노력합시다. 감사합니다."<br /><br />정상들은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메탄의 양을 2020년 대비 최소 30% 감축한다는 내용의 '국제 메탄 서약' 출범도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대 메탄 배출국으로 꼽히는 중국, 러시아, 인도는 서명하지 않아 전 지구적 합의로 평가되기에는 부족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중국, 러시아뿐 아니라 터키, 브라질 등 주요 탄소 배출국의 정상도 영국으로 오지 않아 '기후변화 유엔 총회'라는 취지가 무색했습니다.<br /><br /> "솔직히 말하자면 중국이 참석하지 않은 것은 큰 실수입니다. 그들은 세계와 COP26 참석자들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했습니다."<br /><br />각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탄소중립 목표 시한을 확정하지 못한 건 이번 총회의 최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선미입니다. (smju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