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서울 오프라인 상점 매출 9조 감소 <br />"대면 소비 급증하며 비대면 소비 주춤할 수도" <br />"비대면 관련 기술 발전에 성장세 여전할 수도"<br /><br /> <br />일상회복, 이른바 '위드 코로나'로 이제 대면 소비가 많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급성장하고 있는 배달앱이나 온라인몰 같은 비대면 업계는 어떤 영향을 받을지 권남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거리에 빈 상가가 즐비합니다. <br /> <br />거리두기의 여파가 여전한 건데, 그래도 일상회복을 맞아 조금씩이나마 기대감이 감돕니다. <br /> <br />[최기병 / 서울 봉천동 : 재택근무가 끝난 이런 분들이 점심시간에 오시는 분들은 조금 늘었어요. 그런데 여전히 오후나, 명동은 워낙 공실이 많고….] <br /> <br />일상회복에 따라 이제 대면 소비는 점차 늘어날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, 그동안 잘 나가던 비대면 시장은 어떻게 변할까요? <br /> <br />코로나 사태 이후 대면 소비는 지난해 서울에서만 9조 원 정도 줄었지만, 반대로 온라인 시장은 급성장하며 지난해 1월 이후 거래액이 4조 원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상회복 이후는 어떨지, 우선 배달앱이나 인터넷몰 등의 비대면 업계 얘길 들어보니, 소비자들이 이미 편리한 경험을 한 만큼 성장세에 큰 영향은 없을 거로 보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아 / 서울 회현동 : 위드 코로나 시기여도 저희는 특별히 변화되는 상황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것 같거든요. 때로는 집에서 시킬 수 있는, 예전의 상황과 큰 차이 없이….] <br /> <br />지난해 서울시민 대상 조사를 봐도, 열에 여덟은 코로나 종식 뒤에도 비대면 소비를 계속하겠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적모임과 영업시간 통제가 풀리며 전체 소비가 늘어나는 가운데, 그동안 억눌린 대면 소비가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비대면 쪽 성장이 주춤할 수 있단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조덕상 / 한국개발연구원(KDI) 연구위원 : (비대면 소비 증가는) 대면 소비 위축에 따른 것으로 소비구성의 변화에 기인하였던 것으로 판단됩니다. 따라서 대면 소비의 회복세가 빨라질수록 비대면 소비의 성장세는 둔화할 가능성이 큽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배달앱 등의 음식 서비스는 감염 공포에 둔감해지고 백신 접종률이 증가하는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세가 줄어드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비대면 소비 관련 기술이 계속 발달하는 만큼 성장세 역시 여전할 거란 주장도 나오는 상황. <br /> <br />그새 익숙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0323155470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