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병원성 AI 확진에 농가 비상…"확산 차단 주력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 가을 들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되면서 방역당국과 가금류 농가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요 철새도래지와 농가 주변의 방역도 강화됐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기도 파주시 공릉천 일대.<br /><br />지난달부터 러시아 등지에서 하나둘 날아든 새들이 떼를 지어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역 차량이 하천 주변 도로를 따라 소독약을 뿌리며 오갑니다.<br /><br />지난 3월 이후 7개월 만에 국내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방역 관리는 한층 강화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6일 충남 천안 곡교천 야생조류에 이어 전북 부안군 고부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H5N1형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확인되면서 유행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위기 단계를 '심각'으로 격상하고 주요 철새도래지 출입 통제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전국 가금농장에 방사 사육을 금지하는 것은 물론, 바이러스 검출지 인근 10km 주변 농가에 3주간 이동 제한 조치가 내려졌습니다.<br /><br /> "11월, 12월 되면서 계속 철새 유입수가 증가되는데, 고병원성이 주변국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유입 위험성이 굉장히 높은 상황이고 세부 점검 계획을 마련해서 관리할 계획에 있습니다."<br /><br />상반기 유럽 철새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건수는 모두 1,139건으로 지난해보다 44배 가까이 급증했는데 다양한 유형의 바이러스가 동시에 국내에 유입될 경우 대규모 발생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듭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시, 살처분에 따른 농가 피해는 물론, 계란과 닭고깃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방역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