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국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우리나라 등 40여 개 나라가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, 중국, 인도 등 석탄 소비량이 큰 주요 국가들은 합의에 대거 불참한 것은 한계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한국을 비롯한 40여 개국이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BBC 등이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폴란드, 베트남, 칠레 등 18개 나라는 석탄 발전 폐지 정책에 처음으로 참여했다고 영국 정부는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참여 국가들은 자국 안팎의 신규 석탄 발전소 투자를 즉시 중단하고, 청정에너지 도입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석탄 발전 비중을 단계적으로 줄여 선진국은 2030년대에, 나머지 개발도상국은 2040년대에 석탄발전을 최종적으로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알록 샤르마 /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의장 : 190개 (국가·단체) 연합이 오늘 석탄 연료와 신규 석탄 화력 발전소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는 데 합의했습니다. 우리는 석탄이 더 이상 왕이 아니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미국, 중국, 인도, 호주 등 석탄 소비량이 큰 주요 국가들이 이번 합의에 대거 불참한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단계적 석탄발전 폐지 시점도 기후변화의 시급성을 고려하면 너무 늦은 시기로 설정됐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미국 등 20여 개국은 탄소저감장치가 갖춰지지 않은 해외 화석연료 사업에 내년 말까지 공적 금융 지원을 중단하기로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엔 이산화탄소 배출을 막는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석탄, 석유, 천연가스 사업이 모두 포함되지만, 제한적으로 예외는 인정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이 서약에는 참여했지만, 우리나라와 중국, 일본, 스페인은 서명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원배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원배 (wb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10514052083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