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대검에서 공수처로 넘어간 압수 자료…‘하청 감찰’ 논란

2021-11-07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‘고발사주 의혹’ 사건은 현재 공수처 수사 그리고 대검 감찰이 동시에 이뤄지는 상황인데요. <br> <br>이 과정에서 대검 감찰부가 대검 전현직 대변인의 공용 휴대전화를 포렌식하고, 다시 이 자료를 공수처가 확보한 것으로 밝혀져 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검 감찰이 공수처의 '하청 감찰’을 했다는 의혹이 나옵니다.<br>  <br>윤석열 후보 측은 "명백한 선거 개입 범죄"라며 반발했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대검 감찰부가 전현직 대변인의 공용 휴대전화를 임의제출 형태로 압수해 포렌식에 착수한 건 지난달 29일. <br> <br>이른바 '고발 사주' 의혹과 윤석열 전 검찰총장 장모 대응 문건 등을 진상 조사하는데 필요하다는 명분이었습니다. <br> <br>이 휴대전화는 권순정, 이창수 전 대변인과 서인선 현 대변인이 차례로 사용해 온 겁니다. <br> <br>이 가운데 권순정 전 대변인은 고발 사주 의혹이 발생했던 지난해 4월 대변인으로 있었고, 이 사건과 관련해 공수처에 입건돼 있습니다. <br><br>공수처는 대검 감찰부의 포렌식이 실시되고 일주일 뒤인 지난 5일 감찰부를 압수수색해 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 전해졌습니다. <br><br>이런 사실이 알려지자 법조계에선 하청 감찰 논란이 제기됐고, 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캠프 측도 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병민 /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캠프 대변인] <br>"정권 차원에서 윤석열 후보를 쓰러뜨리기 위한 공작에 나섰기 때문에 두 수사기관이 이렇게 치졸하게 불법을 자행하는 것 아닌가." <br><br>우회 확보 논란에 취재 활동 검열 논란까지 제기되자 두 수사기관은 적법 절차에 따랐다고 강조했습니다. <br><br>대검 감찰부는 "언론 활동에 영향을 미칠 의도는 전혀 없었다"고 밝혔고, 공수처도 "편법적, 우회적으로 넘겨 받았을 것이라는 보도내용은 근거가 없다"고 해명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 권순정 전 대변인은 "헌법상 영장주의 원칙과 절차적 정당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것은 물론 언론 자유를 침해한 엄중한 사안"이라고 반박했습니다. <br><br>대검 감찰부는 휴대전화가 3차례 초기화돼 아무런 정보도 복원할 수 없었다고 밝혔지만, 압수 절차와 시점을 둘러싼 논란은 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