호주서 7천ℓ 더·베트남서 200t…요소 조달 총력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중국산 공급이 끊긴 요소를 구하려 총력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확보된 물량은 충분치 않은데요.<br /><br />급한 불도 꺼야 하지만 문제의 반복을 막으려면 취약한 구조를 이 기회에 손봐야 한단 지적에 중장기 개선책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긴급히 확보한 요소수는 호주에서 군 수송기로 들여올 2만7,000ℓ, 당초 발표보다 7,000ℓ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군이 방출을 검토 중인 비축분 20만ℓ를 합쳐도 화물차 1,700여 대가 한 달간 쓸 분량에 불과해 40만대가 넘는 영업용 트럭의 수급 해결엔 역부족입니다.<br /><br />다음 주 베트남에서 요소 200t을 들여오기로 했고, 그 외 나라에서 모두 1만t 수입을 협의 중이지만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.<br /><br />중국에 대부분을 의존한데다 차량 공기정화 물질로 요소 외에 대안이 별로 없었던 탓에 대란이 일어난 건데, 정부도 긴급 대응책 마련과 함께 중장기 대책 수립에도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 요소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조달청이 전략비축에 나서는 한편, 질소산화물 분해용 대체 촉매제도 개발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요, 차량에 있는 연료를 변환시켜서 암모니아와 유사하게 환원성이 있는 물질을 공급해주면…"<br /><br />하지만 당장의 수급을 풀려면 빠른 수입이 최선인데, 우선 민간업체 수입 차량용 요소수의 검사 기간을 현재 20일에서 최대 5일로 줄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여러 군데서 인력을 많이 지원해서 지금 상황에서 최대한 (검사시한 단축을) 해야죠. 아직은 (검사) 문의만 많고, 저희는 무조건 시료 갖고 와라 분석하겠다…"<br /><br />정부는 또 현재 5∼6.5%인 관세를 0%로 조정하는 한편, 요소수 판매량 제한과 판매처 지정을 위한 긴급수급조정 고시도 주내 시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