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MSD와 화이자 등이 먹는 치료제를 속속 개발하면서, 코로나19 종식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그러나 먹는 치료제가 감염 초기 환자에게 효과가 크지만, 완전한 치료를 해주지는 못하는 만큼 백신 접종도 당연히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먹는 치료제로 주목받는 것은 미국 MSD와 화이자가 각각 개발한 치료제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체에 감염하면 유전자를 복제해 증식합니다. <br /> <br />MSD 치료제는 유전자 유사체를 주입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복제를 차단하고, 화이자는 유전자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의 작용을 억제합니다. <br /> <br />작용하는 방식은 다르지만, 결과적으로 두 제품 모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MSD의 치료제는 증상 발현 5일 이내 투여 시 입원과 사망 확률이 약 50%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화이자 제품은 증상 발현 3일 내 투여 시 입원과 사망 확률이 89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의 증식이 억제되면 감염 초기엔 유효하지만, 중증으로 악화한 이후엔 효과가 감소합니다. <br /> <br />[김정기 / 고려대 약대 교수 : 중증환자가 중증의 임상 증상을 보인다는 것은 체내 바이러스양이 이미 많다는 얘깁니다. 그로 인한 염증 반응을 줄여주는 약물이 더 효과적이지, 항바이러스제(먹는 치료제)는 물론 효과는 일정 부분 있지만, 상당히 떨어집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지난해 개발된 주사제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와 달리 먹는 형태라 적용이 간편해졌지만, 약 효능의 한계는 사실상 같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9년 '신종플루' 유행 때는 치료제 타미플루로 사실상 해결이 가능한 상태였지만, 코로나 19 치료는 그때와 양상이 다르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부작용의 위험도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소수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과 달리 실제 상용화될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김경우 /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: 아직은 소수 한 300명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300명 대상으로 한 것으로 아직 큰 우려할 이상 반응은 없는데 1만 명이나 10만 명 가운데 1명으로 나올 수 있는 드문 이상 반응에 대해서는 조금 더 연구가 필요할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정부는 40만4천 회분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선구매하고, 내년 1분기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먹는 치료제가 상용화돼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111090450357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