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대 이상반응만 1만3천건…"더 적극적 지원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백신 접종이 치명률과 중증화율을 낮추는 효과는 입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 독려에 백신 접종률도 80%에 다가서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부작용도 늘고 있는데 백신 연관성 인정은 가물에 콩 나듯 합니다.<br /><br />사정이 어떤지, 대책은 없는지 김민혜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방역당국은 코로나 중증화 최선의 방지책은 백신이라며 연일 접종을 독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중증화율의 경우에는 미접종자는 2.93%에 비해 접종 완료하자는 0.56%였습니다. 치명률 또한 미접종자와 접종 완료 자가 각각 0.6%, 0.12%…"<br /><br />현재 백신 접종률은 약 77%, 18세 이상 성인만 보면 90%에 육박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백신 이상반응 의심 사례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8일 0시 기준 이상 의심 신고는 모두 36만여 건, 사망사례 866건을 포함해 중대 이상반응만 1만 3,000여 건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청와대 국민청원엔 백신 접종 뒤 숨지거나 중증에 걸렸다는 호소가 끊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인과성 인정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.<br /><br />현재로선 혈전증이나 아나필락시스로 확인돼야 인과성을 인정받는데, 혈전증 의심 144건 중 3건만 인정됐을 정도입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일상회복을 앞두고서야 피해조사를 맡는 '백신 안전성위원회'를 꾸렸지만, 전문가들도 한발 늦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새로운 백신이기 때문에 접종도 하지만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, 인과관계가 있는지 우리가 연구해서 보상하고 해야 하는 건데 그런 작업을 안 했었단 말예요."<br /><br />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의심 증상을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 시간상 인과관계가 설명이 되는 경우는 우선적으로 그분들에 대한 지원을 해주고 추후 보상제도도 마련…"<br /><br />이상반응에 대한 폭넓고 기민한 대처가 최선의 접종률 제고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