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통령까지 나서서 불안해하지 말라고 했지만 요소수 대란에 일부 시민들은 휴지나 기저귀 같은 생필품까지 사재기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급한 불은 껐다고 하지만 마스크 대란을 겪고 나니 정부 말만 믿고 있을 순 없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홍유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제48회 국무회의 (어제)] <br>"(요소수 부족에 대해) 국민들께서는 지나친 불안감을 갖지 마시길 당부드립니다." <br> <br>대통령까지 나섰지만 한 가정집 창고엔 휴지와 울샴푸 등 각종 세제가 쌓여있습니다. <br> <br>페트병 13개엔 쌀이 가득 들어 있고 치약도 30개 갖춰놨습니다. <br> <br>요소수가 부족해서 화물차가 멈추고 물류 대란이 벌어질 수 있단 생각에 생필품을 미리 사재기해놓는 겁니다. <br> <br>[이민영 / 광주 서구] <br>"택배가 운행이 안 되면 마트 같은 데서도 물건이 없어서 다 동날 텐데, 2월 출산이어서 기저귀랑 물티슈 지금 많이 구비해놓은 상태입니다." <br> <br>급하게 필요한 것들을 장바구니에 담다 보니 50만 원어치 정도 장을 봤습니다. <br> <br>과도한 불안감일 수도 있지만 지난해 겪었던 '마스크 대란'의 악몽이 이번 사재기의 계기가 됐습니다. <br> <br>[이민영 / 광주 서구] <br>"요일제 마스크 샀던 게 기억나더라고요. 그때처럼 없어서, 닥쳐서 발 동동 구르는 거 보다 마치 전쟁에 대비하는 거 처럼 많이 사놓고 싶어요." <br> <br>정부 대응이 못 미더워 이씨처럼 기저귀 같은 필수 아이 용품은 미리 사두려는 주부들이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자영업자들도 사재기를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장사할 때 꼭 필요한 포장용기나 원자재 중 미리 사 놓을 수 있는 건 사서 쌓아두자는 겁니다. <br> <br>정부는 석 달 치 요소수는 확보했다며 호언장담하고 있지만 마스크와 백신 수급 대란을 겪은 시민들의 반응은 유비무환 사재기입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김문영 <br> <br><br /><br /><br />홍유라 기자 yur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