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중 압박 전선의 선봉에 서 있는 미 국무부 동아시아·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우리 정부 당국자와 대선 후보를 연쇄 접촉하며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공급망 재편 등을 추진하는데 있어 우리 정부의 협력을 유도하는 데 무게가 실려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의 동아시아 태평양 정책을 실무 총괄하는 크리튼브링크 차관보가 외교부를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임 후 첫 방한으로, 한미 차관보 협의를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양측은 북미 대화 재개 방안을 논의했고, 기후변화와 공급망 등 대응에 있어 협력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한미국대사관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"양측은 한미 동맹이 인도태평양과 그 외 지역에서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지속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"고 밝혔습니다, <br /> <br />방한 목적 중 하나가 중국과의 패권 경쟁 속에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공급망 재편 등 대중국 견제망을 구축하는데 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(바이든 행정부가) 경제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데 거기에 대한 핵심 국가들의 협력을 도출해내는 그런 행보로 볼 수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.] <br /> <br />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외교부 1차관과 경제외교조정관을 잇따라 만난 뒤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와도 별도 면담을 갖는 등 바쁜 일정을 밟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여야 대선 후보들과의 연쇄 개별 면담은 예상 밖의 이례적인 일정입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면담에 이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도 만납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미국 정부 관료가 공개적으로 대선 후보를 만나는 것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외교적 결례이고, 대선 후보가 직접 차관보를 만나는 것도 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입니다.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111121065524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