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최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혐오 표현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 <br /> <br />네이버에 댓글 신고기능이 있긴 하지만 유명무실해, 혐오 표현 규제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월 6일 미국 시위대의 미 연방의회 난입 사건. <br /> <br />시위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SNS 플랫폼 트위터에 올린 대선 불복 게시물을 보고 자극을 받아 폭동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트위터는 트럼프가 폭력 선동을 조장할 위험이 있다며, 트럼프의 계정을 아예 없애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의 경우엔 어떨까? <br /> <br />국내 포털 1위 네이버에 올라온 대학 내 성평등위원회 폐지 관련 기사 댓글입니다. <br /> <br />페미니즘이나 여성에 대한 혐오성 발언이 줄줄이 달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네이버 이용약관에 혐오 표현에 대한 규제 조항이 없어 관련 댓글이 방치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'신고 제도'가 있지만, 신고자 본인에게만 댓글이 보이지 않게 처리될 뿐, 삭제되기까지 검토 시간이 걸려 댓글 창엔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지원 / 중앙대 성평등위원회 '뿌리' : 성평등위원회가 왜 폐지되었는지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는데요, 그때 네이버 뉴스 댓글을 보니 "페미니즘은 정신병이다" 혹은 "페미니스트들은 다 죽어라"…. 신고를 눌러도 신고자에게만 보이지 않았고….] <br /> <br />네이버 운영약관에는 '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비판적 표현은 폭넓게 허용되어야 한다'는 내용이 담겨 있어 혐오표현을 묵인한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유튜브 등 글로벌 SNS 플랫폼은 물론 카카오 등 국내 기업이 혐오 콘텐츠에 대한 정의와 규제조항을 가이드라인에 명시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전찬영 / 청년참여연대 운영위원장 : 네이버는 대한민국 국내 1위 포털사이트입니다. 그런데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이용약관에는 혐오 표현 규제에 대한 조항조차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네이버는 이용약관에 명시되지 않더라도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규정에 따라 혐오 표현을 규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악성 댓글을 걸러주는 AI 클린봇도 업데이트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[네이버 관계자 : KISO(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) 정책 규정을 따르고 있고, 그 규정에 (혐오표현 규제에 대한) 상세한 내용이 명시되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111121150240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