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소수 하나 때문에 화물차 운행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 전반이 영향을 받은 '요소수 대란'은 시한부 진정 국면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'제2의 요소수 사태'를 막기 위해 일본의 수출규제 사태 이후 지정한 300여 개 관리품목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물량 확보와 유통망 관리라는 정부의 '투트랙 전략'이 효과를 거두면서 요소수 대란은 일단 진정 국면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물량은 우리를 패닉 상태에 빠뜨린, 중국 세관에 발목 잡힌 기존 계약분 1만8천여톤의 요소가 원래대로 수입되도록 외교로 풀었습니다. <br /> <br />호주 등으로부터 긴급히 받은 요소수 등까지 포함하면 최대 3달간 시간을 벌게 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위반시 강력한 처벌이 따르는 긴급수급조정조치도 발동해 유통망 개입에도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[주영준 /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: 요소와 요소수 전 밸류체인 상의 유통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함으로써, 수급난을 야기심화시키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, 이에 대한 즉각적인 처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조치는 천재지변 등으로 인한 경제 위기 때 수급을 통제하는 1976년에 제정된 물가안정법에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업자 등에게 생산, 공급, 출고 등의 명령을 할 수 있고, 판매도 정해줄 수 있는 강력한 조치입니다. <br /> <br />법 제정 이후 처음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'마스크 대란' 때 실시한 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 등 세계 경제에 엄청난 충격을 준 중동발 오일쇼크 당시인 70년대 말에도 시행되지 않았던 조치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수입처 다변화와 국내 생산 등의 시스템구축이 시급하지만 단기간에 이루기는 사실상 불가능해 정부는 해법 마련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의 수출규제 사태 이후 공급망을 관리하도록 지정된 품목은 300여 개. <br /> <br />지금까지 주로 대책 마련은 여기에 집중해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제2의 요소수 대란을 막기 위해 반도체와 자동차, 전지 등 주요 업종 관계자들과 긴급 회동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공급망 지정 관리 품목을 확대하기로 하고 관련 대책을 계속 협의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1204453565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