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2발 인플레이션이 포스트 코로나의 악재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에너지 가격이 물가를 크게 끌어올리면서 전 세계적으로 높은 물가 상승이 당분간 불가피해 보이는데, <br /> <br />문제는 중국의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이 되고, 여기에 미국이 조기 금리 인상에 착수하면, 우리 경제에 미칠 충격파 역시 적지 않을 거란 겁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대출 규제가 시장을 왜곡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시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4% 수준인데 2금융권인 새마을금고와 단위 농협의 금리는 3%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이 가계대출을 줄이겠다며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마진폭을 올리면서 벌어진 일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에너지 공기업 수장들이 원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승일 한전 사장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"현재의 원전은 적정 수준이지만 국민의 공감대가 있다면 원전 확대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는데 조선일보는 이걸 '탈원전 레임덕'이 아니냐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모임 인원 제한 완화로 '회식과 음주'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부작용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억눌렸던 대면 교류 욕구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서 '보복 회식' '보복 음주'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데 그러면서 이달 들어 자정을 넘긴 술자리가 눈에 띄게 늘어 방역 당국의 고민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많던 '알바'는 어디로 갔을까요? <br /> <br />위드 코로나로 손님이 늘어난 한 식당의 사장은 시급 만천 원의 구인 광고를 냈는데 문의 전화 한 통 없었다며 걱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일보는 이렇게 알바가 줄어든 이유로 알바 청년이 이미 '라이더'로 갈아탔거나 청년 지원금이 늘어나 구직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청년이 많아져 생긴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간 브리핑 이승훈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승훈 (shoony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1206034304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