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3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1년 11월 12일 (금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소종섭 전 시사저널 편집국장,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, 최수영 정치평론가(메시지 컨설턴트), 한민수 전 국회의장 공보수석[전 이재명 캠프 공보수석]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홍준표 의원이 해단식 이후에 조금 잠잠했었는데. 마음이 홀가분해져서 다시 텅 비우고 청년들의 광장으로 나간다. 선거 전적인 7승 3패가 되었다. 홍준표 의원이 이제 마음 정리가 조금 된 것 같습니다. <br><br>[최수영 정치평론가(메시지 컨설턴트)]<br>어느 정도 시간이 조금 흘렀지 않겠습니까. 이제 홍준표 의원 입장에서는 굉장히 만감이 교차할 것 같아요. 2017년 대선에서 20대 지지율이 4명의 후보 가운데 가장 아래였는데. 이번에는 2030의 아이콘으로 등장을 했어요. 4년 사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. 저는 이렇게 묻고 싶은데. 홍준표 후보가 이렇게 그 2030의 아이콘으로 떠오를 수 있었던 것은. 그만큼 2030 세대가 그만큼2030 세대가 이제는 굉장히 다양성 있고 다원화된 그런 자기 가치 중심의 그런 세대의 특징을 드러낸다고 이렇게 보이는데. <br><br>저는 오히려 홍준표 의원 말을 액면대로 받아주었으면 좋겠어요. 내가 꼭 선대위에 명단을 올린다고 해서 하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. 내가 승복하고 내가 대선 장정에 함께하면 그것으로 모든 것을 조금 이해해 주었으면 좋겠다. 그 말 그대로 갔으면 좋겠어요. 저는 오히려 청년들의 광장으로 나가서 청년들의 민심들을 하나로 수렴해서 나중에 중도의 세력으로 합류를 한다면. 오히려 국민의힘 차원에서도 시너지가 날 수도 있기 때문에. 이 부분에 대해서 과도한 해석을 하거나, 홍 의원께서 무슨 다시 어떤 정치 세력화를 도모한다. 이런 조금 추측들을 조금 앞서나가는 것 같고. 제가 보기에는 나중에 민심의 큰 바다에서 다 만나지 않겠습니까. 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윤하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