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2017년, 5년 안에 서울을 ‘태양의 도시’로 만들겠다, 선언했습니다.<br> <br>이후 서울 아파트 베란다 곳곳에 이렇게 태양광이 달렸는데요. <br> <br>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 사업, 감사를 벌였죠.<br> <br>결과가 나왔는데 제대로 된 관리 없이 시민들 세금이 펑펑 쓰여왔다는 게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먼저 김예지 기자가 정리한 내용 보시고, 한번더 상세하게 짚어보겠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영등포구의 아파트. <br> <br>베란다 곳곳에 태양광 패널이 달려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가 지난 2014년부터 실시한 태양광 보급사업에 따라 설치된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당장 고장이 나도 고칠 수 없는 패널이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보급업체는 설치 후 5년간 사후관리와 무상수리 의무가 있지만, 일부 업체가 자진 폐업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오세훈 / 서울시장(지난달 19일)] <br>"태양광 가구들을 관리하지 않은 것은 일종의 횡령이나 배임, 또 심한 경우에는 사기에 해당할 정도로 범죄 행위입니다." <br> <br>아파트 1층에도 패널이 설치됐습니다. <br> <br>나무 그늘에 가려져 햇빛이 거의 닿지 않습니다. <br> <br>설치 실적을 늘리기 위해 서울주택도시공사, SH의 임대아파트에 집중 설치했는데, 8%에 해당하는 3800개 정도가 2층 이하에 설치됐습니다.<br> <br>태양광 보급업체인 협동조합의 주요 임원들이 서울시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정책에 관여한 정황도 감사결과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'원전 하나 줄이기 위원회'가 공무원에 준하는 기능을 했던 만큼, 내부 정보로 사익을 추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 추진된 태양광 보급사업에 대한 감사를 벌여 30건의 지적을 관련부서에 통보했습니다. <br><br>앞서 서울시는 고의 폐업이 의심되는 업체 대표 14명을 사기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. <br> <br>또 무자격 시공이나 불법 하도급 혐의로 11개 업체를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서울시가 2014년부터 올해까지 베란다형 태양광 설치에 들인 예산은 모두 560억 원. <br> <br>서울시는 내년도 예산안에는 한 푼도 반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김예지 기자 yej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