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다주택자 비중 줄었지만..."정책 효과" vs "증여 때문" / YTN

2021-11-16 0 Dailymotion

지난해 다주택자의 비중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고강도 규제의 효과다, 증여가 늘었기 때문이다, 해석이 엇갈리는 가운데 자기 집이 없는 가구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권남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현미 / 전 국토교통부 장관(지난 2017년 8월) : 자기가 사는 집이 아닌 집들은 좀 파시고, 파는 길을 열어드린 거고…. '공급이 부족하다' 이렇게 말할 수는 없는 거고요.]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다주택자와의 전쟁 4년째. <br /> <br />세금을 더 매기고 대출길은 막았지만, 지난해 다주택자의 수는 또다시 역대 최대인 232만 명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전체 다주택자의 비중이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가운데, 집을 4채 이상 가진 이들의 수가 처음으로 줄면서, 정부는 일부 정책 효과가 드러났다는 해석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이나 경기, 세종 등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다주택자 비중이 감소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다주택자들이 정말 시장에 집을 내놓은 건지, 아니면 제 자식에게 물려준 건지는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해 전국의 아파트 증여는 9만1천여 건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우병탁 /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 : 다주택자의 비중이 이전보다 좀 줄어들었다 하더라도 상당수는 매각을 통해서 처분했다기보다는 일정 부분 증여나 이런 것을 통해서 사람별로 분산되었을 가능성이 굉장히 큽니다.] <br /> <br />전체 가구 가운데 자기 집을 가진 가구의 비중은 전년보다 감소했고, 반대로 무주택 가구는 43.9%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1인 가구 등을 중심으로 가구 수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란 해석과 주택 공급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동시에 나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(지난 10일) : 부동산 시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부동산 공급에 몰려있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집을 가진 사람 안에서도 상위 10%와 하위 10%의 가격 격차는 역대 최대인 47배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상위 10%의 평균 집값이 1년 사이 2억 원 넘게 뛰는 동안 하위 10%는 100만 원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남기입니다.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1622195773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