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선을 앞두고 여야 후보 모두 내부 갈등을 지금 겪고 있죠. 여당을 담당하는 정치부 임수정 차장, 야당을 담당하는 노은지 차장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선거 취재를 진두지휘하는 두 차장이 나왔는데요. 이재명, 윤석열 두 후보 모두 내부 정리가 고민인데, 실제 뭐가 문제인지 좀 들어보고 싶어서에요. <br> <br>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현재 고민은 30%대에 갇힌 지지율인데요.<br><br>윤석열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혹시 고착화되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. <br><br>윤석열 후보의 지금 지지율은 당 후보 선출 직후 컨벤션 효과 때문이라고 보고 있지만 이번주 두 사람의 지지율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이낙연 전 대표 지지층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했고, 이재명 후보의 발언 논란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 <br><br>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지금 고민거리는 불협화음 없는 '반문 원팀 꾸리기'입니다.<br><br>그 첫 단추가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인데요.<br><br>선대위를 잡음없이 출범시키는 게 윤 후보의 최우선 과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정치 신인 대선 후보의 정치력을 보여줄 첫 시험대이기도 하다보니 이준석 대표,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과 의견 조율을 하면서도 자신이 원하는 인사를 챙기는게 가장 큰 고민일 겁니다. <br> <br>Q. 임 차장, 이재명 후보가 지지율 정체를 깨기 위한 전략으로 문재인 정부와의 차별화를 선택한 것 같은데요. 차별화하겠다는 생각은 명확한 겁니까? <br> <br>이재명 후보의 발언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보면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/ 당시 경기지사] <br>"경제적인 측면도 충분히 인정할 만하고 뭐 방역은 말할 것도 없고요." <br> <br>[이재명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 <br>"청년들이 희망을 잃게 된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우리 더불어민주당과 집권 세력의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기때문에" <br> <br>[이재명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<br>"저는 3기 민주당 정부가 100%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.“<br> <br>지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하고 정권 교체를 원하는 여론까지 흡수해야 하는만큼,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는 불가피하다는 판단입니다. <br> <br>Q. 그런데, 문재인 대통령도 지금 30%대 지지율이 계속 나오고 있거든요. 차별화를 하면 지지층이 더 흩어질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? <br> <br>전통적 민주당 지지층은 선거 막판에는 결집하거라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. <br> <br>결국 변화를 원하는 '중도층'을 잡아야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판단에 차별화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다만 문 대통령의 지지층을 감안해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기보다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등 정부를 비판하는 식이 될 것 같습니다. <br> <br>Q. 이재명 후보의 차별화에 대해 청와대는 기분이 좋을 것 같지는 않은데요. <br><br>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오늘 SNS에서 마지막까지 애쓰는 대통령에게 수고한다, 고맙다 할 수는 없는거냐, 서로 존중하는 의리는 있어야하지 않냐고 쓴소리를 했습니다.<br> <br>차별화에 나선 이재명 후보측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건데요. <br> <br>이번 전국민 재난지원금으로 여당이 기재부를 압박한 것을 두고도 한 청와대 관계자는 "국회의 시간에 정부만 압박한다고 될 게 아니다”라고 불쾌한 기색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이재명 후보 측, 이런 청와대 반응에 가만있지 않았는데요. <br> <br>"청와대 전현직 일부 참모들의 이런 냉소적인 태도가 문제"라고 발끈했습니다. <br> <br>Q. 노은지 차장, 국민의힘 선대위 출범, 내일로 예상됐는데 일단 다음주로 늦춰졌어요. 왜 그런겁니까? <br> <br>윤석열 후보 측은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과 이준석 대표 사이 인선을 두고 이견은 없다, 이렇게 강조했는데요. <br> <br>그러면서 김종인 전 위원장이 구상하는 위원회의 방향, 거기에 맞는 인물을 더 찾아 다음주 중에 1차 인선을 발표하겠다,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예상보다 선대위 구성이 늦어지는 건 조율할 게 더 있다는 얘기이고, <br> <br>결국 이견이 남아 있다, 이렇게 볼 수 있겠지요. <br> <br>Q. 일각에서는 일부 인사를 두고 윤 후보와 이준석 대표, 김종인 전 위원장 간 이견이 있다는 말이 나오잖아요. <br> <br>김병준 전 위원장을 상임선대위원장에 임명하는 것을 두고 이준석 대표, 김종인 전 위원장이 반대했다 이런 말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또 김 전 위원장이 주호영, 장제원 의원 등 경선 캠프 실세는 모두 빼야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는 얘기까지 나왔었는데요, <br> <br>이들 인사에 대해서는 김 전 위원장의 의견을 조금 더 들어서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. 당무우선권은 대선 후보에게 명확하게 있는 건데요. 윤 후보가 상당히 김종인 이준석을 신경쓰는 느낌도 들고요. <br> <br>가장 큰 이유는 본인의 약점을 보완할 인물들이기 때문인데요, 이준석 대표는 2030 세대의 지지가 강하고, 김종인 전 대표는 호남과 중도층 공략을 위해 필요하죠. <br> <br>하지만 윤 후보 측에서는 불만도 나오는데요, 특히 이준석 대표에 대해 "본인이 후보냐"며 이 대표가 선대위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고 하는 것에 불만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Q. 임 차장, 사실 선대위를 먼저 구성한 이재명 후보도 선대위에 불만이 있던데, 뭐가 문제인 겁니까? <br><br>문재인 대통령의 책사로 불렸던 양정철 전 민주정책연구원장이 오늘 민주당 의원들과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렇게 비판을 했습니다. <br><br>“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”<br> <br>“대선을 앞두고 이렇게 유유자적 여유 있는 분위기는 우리가 참패한 2007년 대선 때 보고 처음이다" <br> <br>후보만 죽어라 뛰고 있다는 건데요. <br> <br>이재명 후보 역시 비공개 선대위 회의에서 “열심히 좀 해 달라”는 말을 몇 번이나 당부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덩치만 키운 선대위도 효율적으로 다시 재편하기로 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