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백악관은 연간 10억 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추가 생산하기 위한 백신 생산 시설 확장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공급 부족에 따른 백신 불평등을 해소하겠다는 것인데, 백신 특허권을 유예해 다른 나라에서도 백신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빠른 길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헌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 백악관은 현지시간 17일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제약회사의 설비와 생산시설 확충, 신규 채용을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화이자와 모더나 같이 mRNA 계열 백신을 생산하는 제약사가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시설 확충을 통해 내년 하반기부터 연간 10억 회분의 백신을 추가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제프 지언츠 / 백악관 코로나19 TF 팀장 : 지금보다 더 늘어난 생산 설비는 세계를 위해 더 많은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사실상 mRNA 계열 백신을 독점하다시피 한 미국은 그동안 전 세계적인 백신 불평등 해소를 위해 더 큰 기여를 해야 한다는 국제 사회의 압력을 받아 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지금까지 2억5천만 회분의 백신을 세계 각국에 기부했고, 내년 말까지 11억 회분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이번 투자가 앞으로 또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 상황에서 백신 생산 능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건 전문가들은 미국의 조치를 반기면서도 전 세계가 면역력을 갖기 위해 필요하다고 세계보건기구가 추산한 110억 회분에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차라리 미국 제약사의 백신 특허권을 유예해 세계 각국이 백신을 직접 생산하는 것이 더 빠른 길이란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또 현재 미국 내 잉여 백신이 최소 5억 회분은 될 것이란 추정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백신 분배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헌입니다.<br /><br />YTN 이동헌 (dh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11811055592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