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환자 비수도권 이송…병상 안늘리는 병원 제재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의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80%를 넘는 등 수도권 병상이 한계에 다다르고 입원 대기 환자들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1시간 이내 거리 비수도권 병상을 활용하고, 환자를 안 받거나 병상 확충을 하지 않는 병원들에 불이익을 주는 비상 카드를 꺼냈는데 쉽지는 않습니다.<br /><br />신새롬 기자입니다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수도권 중증 병상 가동률은 18일 오후 5시 기준 80%에 육박합니다.<br /><br />병상 배정을 받지 못해 대기 중인 수도권 환자도 하루 만에 100명 가까이 늘어 500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정부는 우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코로나19 중증환자 병상을 통합 관리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 중환자 병상이 다 찼으면 1시간 내 거리 비수도권 병상을 활용한다는 건데, 문제는 중증 환자 이송이 말처럼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 "비수도권의 이송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 변화 또는 인공호흡기를 갖춘 응급이송차의 확보, 그 밖의 여러 가지 응급상황에 대비하는 의료인력이 같이 동승해야 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…"<br /><br />병상 여력을 확보하자면 확충만으론 부족하고 호전된 환자를 즉각 준중증ㆍ중등증 병상으로 옮기는 체제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정부는 전원, 퇴원을 거부하는 경증 환자는 치료 비용을 물리고, 정당한 사유 없이 환자 배정을 거부하거나 행정명령을 받고도 병상을 늘리지 않은 병원은 손실보상에서 제외하는 '채찍'도 꺼냈습니다.<br /><br /> "신속하게 전원해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저희들이 앞으로 재원의 적정성 평가를 더 강화하고, 전원에 따른 인센티브도 강화하면서 또 한편 제일 중요한 신속한 이송체계 구축도 진행을 하겠다"<br /><br />거점전담병원 3곳, 감염병전담병원 4곳이 추가 지정돼, 670개 병상이 추가될 예정이며, 이와 별개로 앞서 두 차례 발표된 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통해서는 1,144개 병상이 마련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. (ro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