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감독원이 은행 관계자들을 긴급 소집해 가파른 대출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권은 물론 정부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일자 시장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기존 입장을 바꿔 뒤늦게 경고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8개 주요 은행의 여신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가파른 대출금리 상승세가 논란이 되자 금융감독원이 대출금리 산정 체계 등을 점검하기 위해 긴급 소집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찬우 /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: 은행의 예대 금리 운영현황을 함께 점검해보고 개선할 사항은 없는지 살피기 위해 마련됐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주요 은행들의 대출 금리는 크게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지난 6월 말 2.75%에서 지난달 3.42%로, 신용대출은 2.84%에서 3.45%로 각각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예금금리는 대출금리 상승 폭에 미치지 못해 은행이 '이자 잔치'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금감원은 금리가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는 가격이라고 강조하면서도 은행의 가격 결정과 운영이 투명하고 합리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도 이에 공감하며 예대 금리 산정·운영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이 필요하다면 함께 고쳐나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금감원은 더 많은 금융 소비자가 금리 인하 요구권을 통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도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찬우 /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: (개별 은행별로) 자료를 받아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, 합리적으로 투명하지 않은 것인지를 보고 그에 따라 어떤 조치를 취할지 볼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하루 전만 해도 금감원은 대출금리 급등이 가계부채 정책 때문이 아니라 시장에서 결정되는 준거 금리 상승 탓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은행권 이자 수익이 늘어난 것도 예대금리차가 커져서가 아니라 가계대출 규모 자체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도 금융당국이 시장에 '개입'하는 건 어렵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지만 논란이 식지 않자 입장을 바꿔 뒤늦게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음 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이미 치솟은 대출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이럴 때일수록 금융당국이 일관되고도 보다 확실한 태도로 관리·감독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1922393051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