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접종 후 석 달 만에 ‘항체 반토막’…한 발 늦은 추가접종

2021-11-20 12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미 백신 접종을 마친 요양병원들에 코로나가 퍼지는 이유, 바로 돌파감염 때문이죠.<br> <br>백신 맞은 지 네, 다섯 달이 지나면서 백신 효과가 떨어진 겁니다.<br> <br>방역 당국 조사에 따르면 접종 완료 후 석 달만 지나도 항체 수는 절반 이하로 떨어집니다. <br> <br>이어서 황규락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중화항체란 바이러스가 몸 안에 침투했을 때 이를 방어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 <br> <br>그러나 백신으로 생성된 중화항체의 양은 시간이 갈수록 적어져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.<br> <br>코로나 백신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<br>국립감염병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을 완료하고 2주가 지난 사람들의 중화항체 최고치는 392. <br> <br>3개월이 지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집니다. <br> <br>화이자를 접종한 이들도 석 달 뒤 중화항체가 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.<br> <br>[김윤/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] <br>"중화항체 값이 낮으면 감염 위험이 더 높아지기는 하나, 백신의 종류에 관계없이 얼마 이상이 돼야 된다고 하는 수준이 있고 그 수준은 대부분 다 넘죠." <br> <br>여기에 전파력이 강한 델타변이가 국내 감염을 이끌면서 백신 효과는 더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실제로 델타 변이와 비교하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완료자의 중화항체 양이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에 비해 50% 정도 감소했고, <br> <br>화이자는 6분의 1, 모더나는 3분의 1 수준입니다.<br> <br>단 중화항체값만 가지고 코로나 예방 효과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. <br> <br>[이혁민 /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] <br>"항체 면역 체계가 있고 세포 면역 체계가 있는데 세포 면역 쪽은 아스트라제네카 쪽이 오히려 더 훨씬 강하다는 보고들도 많아서 아마 종합적으로 판단을 해야 될 걸로 보입니다." <br> <br>전문가들은 시간이 지나면 백신 효과는 떨어지기 때문에 접종 시기별 추가 접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황규락 기자 rocku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