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두 달 전에 ‘빨간불’…고령층 항체 보유량 조사도 안 해

2021-11-20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60세 넘는 어르신들은 올해 2, 3월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으셨죠.<br> <br>보신 대로 9월부터는 돌파감염되는 사례가 갑자기 늘었습니다.<br> <br>물론 이게 꼭 아스트라제네카 때문이라기보다는 백신 맞은 시일 자체가 오래되면서 백신 효과가 떨어졌다, 이렇게 볼 수 있을 텐데요.<br> <br>문제는, K-방역을 자랑하다 초기 백신접종 타이밍을 놓쳤던 것처럼 정부가 추가 접종을 두고도, 이런 중요한 징조들을 놓쳤다는 겁니다.<br> <br>황수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4월 2명이 돌파감염된 이후 돌파감염은 무섭게 늘어났습니다. <br><br>7월 천 명을 넘기더니 9월에는 전달보다 3배 넘게 늘어 9천 명에 달했습니다. <br> <br>6월 이전 백신 접종을 완료한 60대 이상 고령층들의 예방 효과가 떨어지기 시작한 때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부는 60세 이상 접종 완료자들의 항체 보유량 조사도 제대로 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/ 질병관리청장 (17일)] <br>"혈액 채취나 이런 것을 주기적으로 할 수 있는 의료진을 중심으로 평가 진행을 초기에 하다 보니까 주로 18~50세 정도의 대상이 주로 포함되어서 조사가 진행되었고요. "<br> <br>[마상혁 / 경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] <br>"항체 효과가 얼마나 갈 건지 돌파감염이 언제 생길건지에 대한 조사를 우리 자체적으로 당연히 했어야 하는 거고. " <br><br>미국 등 해외 사례를 들어 추가접종 간격 6개월을 한동안 고집했습니다. <br> <br>[천은미/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집단감염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추가접종을 시작했을 때 정도에 준해서 우리도 9월, 10월 정도에 요양시설에 추가접종을 시행했더라면…. "<br> <br>위중증 환자 급증을 막을 적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, 서울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0.2%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최동훈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