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올해 종합부동산세 고지서가 일제히 발송됐습니다. <br> <br>대상자는 94만 여 명, 지난해보다 28만 명이 늘었고, 그들이 내는 세액도 3배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공시지가가 더 오르는 내년에는 더 많은 사람이,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됩니다. <br> <br>납세 대상자들은종부세 폭탄이라고 부르며 재산세를 이미 냈는데, 이중적인 징벌적 과세라고 반발하고 있죠. <br> <br>반대로 정부는 해당자가 전 국민의 2%도 안 된다며, 그들에겐 큰 부담이 아닐 거라고 주장합니다. <br><br>이번 대선에서도 뜨거운 감자죠. <br> <br>박지혜 기자가 종부세 고지서를 받아든 사람들의 이야기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부산에 사는 직장인 A씨. <br> <br>2016년부터 다세대 빌라를 사들여 임대사업을 해 왔는데 임대사업자 지위가 강제로 말소되면서 올해부터 원룸 11채를 가진 '다주택자'가 됐습니다. <br><br>작년까지 합산 배제가 됐지만 이번엔 1천1백만 원이 찍힌 종부세 고지서도 받게 됐습니다.<br> <br>[A 씨 / 부산 서구] <br>“(임대) 소득이 8~900만 원 정도에요. 고가주택만 종부세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‘그거 내면 되지’라고 생각하겠지만, 다세대 다가구 임대사업이 말소된 사람들은 정말 힘들거든요.” <br> <br>서울 반포에 집 한 채 가진 B 씨. <br><br>작년에 종부세로 2천만 원을 냈는데 올해는 상한 150%인 3천만 원을 내야 합니다.<br> <br>[B 씨 / 서울 서초구] <br>"부동산 가격을 자의로 제가 올린 게 아니잖아요. 징벌적으로 고스란히 맞아야 되는 거죠. 웬만한 회사원 연봉만큼 나가요." <br> <br>정부는 종부세 대상이 대한민국 2%에 국한된다고 설명했지만 <br> <br>[이억원 / 기획재정부 1차관 (지난주)] <br>"과장된 우려들이 있습니다만 분명한 것은 전체 국민 중 약 98%에는 고지서가 발송되지 않습니다." <br> <br>우리나라 가구수로 따지면 4.5%, <br> <br>유주택 가구 보면 8.1%가 종부세 대상입니다. <br><br>올해 종부세 대상자는 94만7천명으로 1년 새 28만 명이 늘었고 세액은 5조 7천억 원으로 작년 대비 3배로 급증했습니다.<br> <br>일각에선 집값이 오른 만큼 세금 더 내는 것이 맞고 이래야 다주택자들도 매물을 내놓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퇴로는 없는데 대상자와 세금 부담이 너무 빠르게 늘고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"집값 고공행진과 공시가 현실화로 내년에도 역대급 종부세가 예고된 가운데 세부담이 세입자에게 전가되는 등 시장 불안을 부를 수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. 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" <br>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