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인천의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에서 경찰이 현장에서 벗어난 일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도 "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"며 경찰을 질타했습니다. <br> <br>피해자들은 사건 발생 전부터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층간소음 흉기난동이 벌어지기 두 달 전인 지난 9월, <br> <br>피해자들은 경찰에 층간소음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다고 신고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웃 간의 단순 다툼으로 여긴 경찰은 그냥 되돌아갔습니다. <br> <br>두 번째 신고는 사건 당일인 지난 15일에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현관문과 택배를 발로 차고 위협적인 말을 한다고 신고했지만, 경찰은 불안감 조성으로 경범죄 처벌하겠다고 통보한 뒤 또 돌아간 겁니다. <br> <br>그리고 네 시간 뒤 같은 상황이 반복돼 신고했지만, 지구대 경찰관 2명은 범행을 막지 못했습니다. <br><br>사건 발생 직후 피해자 가족들이 "여러 번 신고했다"며 부실 대응을 지적했지만, 경찰의 설명은 실망감만 줬을 뿐입니다. <br> <br>앞선 신고 사건에서 "특별한 건 없다"고 판단했다는 설명이었습니다. <br><br>피해자들이 느낀 생명의 위협과는 동떨어진 판단을 내린 겁니다. <br> <br>[곽대경 / 동국대경찰행정학과 교수] <br>"어떤 위험한 행동들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정보도 파악이 되고, 위험한 상황이라면 경찰특공대나 강력계 형사들이 출동할 수 있는…." <br> <br>담당 경찰관을 엄벌해 달라는 국민청원은 20만 명 넘는 동의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이 사건 관할 책임자인 인천경찰청장에 이어, 치안 총수인 김창룡 경찰청장까지 대국민 사과를 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도 "있을 수 없는 일이 발생했다"며 경찰을 질타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피해자 가족 측은 "발표는 나오고 있지만 누구도 사과 전화 한 통 없다"며 결국 책임은 누가 지는거냐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