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부가 인가한 평생 교육기관들이 뽑는 이른바 '학습 플래너'들이 다단계 방식과 유사한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고 앞서 보도해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그것도 모자라 평생 교육기관들이 탈세를 위해 학습 플래너들을 이용하는 정황도 YTN 취재 결과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엄윤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A 씨는 재작년 5월부터 올해 7월까지 평생 교육기관 B 사의 학습 플래너로 일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퇴사 후 한 달도 안 돼서 뜬금없이 세금 백만 원을 내라는 통지서가 날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본 적도 없는 재작년 소득 3천만 원이 자기도 모르게 추가된 겁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학습 플래너 : 19년도에 귀속된 세금 신고를 안 한 게 있었다, 세금을 백만 원 이상 부과하겠다고 날라온 거였어요. 이게 무슨 말이지? 하다가.] <br /> <br />비슷한 시기 퇴사한 C 씨 역시, 있지도 않은 재작년 소득 2천6백여만 원이 추가돼 세금 40만 원가량을 내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C 씨 / 前 학습 플래너 : 윗분들이 너 좋으라고 해준 거라고. 조용히 하라고. 이거 어디 가서 말하면 안 된다고, 너만 알고 있으라고. 퇴사했는데도 그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라고 등기까지 오니까 (근로 사실) 부인 확인서를 내야겠다.] <br /> <br />경위를 파악해보니, 전 상사가 벌인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B 사의 사업소득 일부를 프리랜서인 두 사람에게 재작년 지급한 돈으로 꾸며 세무서에 신고했던 거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돈들은 자연스레 두 사람이 세금 신고에서 빠뜨린 소득으로 잡혀서, 이에 따른 종합소득세와 무신고 가산세 폭탄까지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학습 플래너 : 아예 직접 방문을 해서 소득 신고를 해놨더라고요. 19년도 중간에 들어가서 반년 정도 일을 해서 나왔던 소득은 찍혀서 그 다음 연도 5월에 저희가 원래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잖아요. 이때 세금처리가 다 끝나고 난 것이었고.] <br /> <br />이뿐만 아니라 다른 이사는 소득을 쪼개 직원들 계좌로 입금해서 자기 급여가 아닌 거로 눈속임한 뒤 다시 돌려받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통장 나눠쓰기'입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학습 플래너 : 원천징수라는 게 있는데 받으면 좋은 거다, 해라, 너한테 유리한 거 해주는 거다. 아무나 해주는 거 아니다, 설명은 오로지 이게 끝이었어요. 월급날이 돼서 돈이 들어오면 바로 본인 통장으로 다시 가져가고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이 같은 행태들이 인건비 지출을 부풀려서 수익을 숨기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112305022072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