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요소수 사태가 겨우 진정되는가 했더니 이번엔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연말 물류대란 우려가 다시 커지고 <br>있습니다. <br> <br>민주노총은 최저 운임을 보장하는 안전 운임제 연장을 요구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화주들은 난색을 표해 아직 뚜렷한 해결기미가 보이질 않습니다. <br> <br>홍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도로를 따라 컨테이너 차량들이 길게 늘어섰습니다. <br> <br>피켓을 든 노조원들이 모여 구호를 외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국민에게 안전을, 화물 노동자에게 권리를" <br> <br>민노총 소속 화물연대는 경기와 부산 등 전국 15개 거점에서 출정식을 갖고 파업에 돌입했습니다. <br> <br>사흘간 예정된 파업 첫날인 오늘, <br> <br>전체 조합원 2만 2천 명 중 5천여 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> <br>화물연대는 3년 기한으로 지난해 1월 시작된 안전운임제가 내년에 끝나지 않도록 일몰제를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컨테이너와 시멘트 운송 차량에만 한정돼 있는 적용 대상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 <br><br>안전운임제는 일정 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할 경우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입니다.<br> <br>[천춘배/ 화물연대 부위원장] <br>"화물연대 총파업만이 썩어빠진 자본주의 시스템을 멈추고,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." <br> <br>반면 화주들은 부담이 지나치게 커진다며안전운임제에 반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양측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내년도 안전운임 결정을 위한 협상은 시작조차 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정부도 국회 입법차원에서 풀어야 할 문제라며 난색입니다. <br> <br>일몰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화물운수사업법 개정안은 국회에 계류중입니다. <br> <br>파업이 강행되자 정부는 자가용 화물차 유상운송을 허가하고, 대체 수송 차량을 확보하는 등 대책에 부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요소수 사태에 이어 화물연대 총파업까지 더해지면서 연말 물류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진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덕룡 이기현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홍진우 기자 jinu0322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