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델타보다 강한 오미크론…전 세계 확산, 전파력은?

2021-11-28 8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델타 변이보다 더 센 변이 등장에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제정책산업부 허욱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. <br><br>Q1. 오미크론 변이가 벌써 여러 나라에서 확인됐잖아요. 지금 확산세가 거센 것 같은데 전파력이 강한가 봐요? <br><br>네, 순식간에 전 대륙으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><br>남아공 등 아프리카 8개 국가를 시작으로 먼저 유럽으로 번졌는데요. <br> <br>벨기에에 이어 영국, 독일, 이탈리아, 체코에서 변이가 확인됐고, 유럽과 가까운 중동에선 이스라엘, 아시아에는 홍콩까지 확인된 상황입니다.<br> <br>전파력은 델타변이보다 2~5배까지 강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Q2. 지난 금요일만 해도 뉴 변이라고 알려졌는데 하루아침에 오미크론으로 바뀌었어요. 시청자분들이 좀 헷갈릴 수 있겠어요. <br><br>변이 바이러스 이름. 그리스 알파벳 순서대로 차례로 붙이고 있고 이번은 관행대로 13번째인 '뉴' 차례가 맞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세계보건기구는 두 단계 건너뛰고 15번째인 오미크론으로 이름 붙였는데요. <br> <br>'뉴'는 새롭다는 의미와 헷갈릴 수 있고, 14번째 '크사이'는 표기가 'Xi'로 시진핑 주석의 시처럼 중국에서 많이 쓰는 성이기도 합니다. <br><br>결국 세계보건기구는 "질병 이름을 붙일 때 국가나 지역, 직업, 인종 등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이름은 피하도록 권고한다"며 해명했습니다. <br><br>Q3. 새 변이 전파력이 센 건 알겠는데 치명률 등 위험도는 어떤가요? 백신 효과는 있나요?<br> <br>남아공에서 오미크론 확진자를 살펴본 의료진은 "극심한 피로감을 호소하지만 증상은 가볍다"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위험도는 아직 더 분석이 필요합니다. <br><br>일단 오미크론은 단백질 돌기가 신체 세포에 달라붙어 침투할 가능성이 델타의 5배라는 보고가 있습니다. <br> <br>전파력이 더 강한 건 분명합니다. <br> <br>문제는 돌연변이 수가 델타변이의 2배인 32개로 확인됐다는 겁니다. <br> <br>돌연변이가 많다는 건 기존 백신 항체를 무력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지금의 백신은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일단 미국 화이자사는 2주 정도 분석하면 100일 안에 새 백신 개발 가능하다고 보는데 정작 인허가받고 전 세계에 유통하려면 <br>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. <br><br>Q4. 델타가 유입돼 우리나라에 퍼진 것도 순식간인데 이번에도 그럴까요? <br><br>델타변이 때를 말씀드리자면, 세계보건기구가 델타변이를 우려변이로 지정한 지 불과 사흘 만에 우리나라에서도 확인이 됐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순식간에 잠식하며 6월말부터 4차 대유행이 시작됐고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죠. <br> <br>이번에 오미크론은 그저께 우려변이로 지정됐거든요. 이제부터는 정말 시간과의 싸움입니다. <br><br>Q5. 정말 시간 싸움인데 오미크론 확산 막을 방법 없나요?<br> <br>일단 강력한 입국제한 조치로 최대한 국내 상륙 시기를 늦춰야 합니다. <br> <br>지금 현재 PCR 검사법으로는 새 변종인 오미크론 잡아낼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오미크론 판정을 위한 PCR 개발하는데 2주가 걸리고 이것 일선 방역 시스템에 보급하는데 또 최소 2주가 걸립니다. <br> <br>결국, 앞으로 한두 달이 고비인데 델타 때처럼 우리 방역 당국이 역학조사 속도에서 뒤처지기 시작하면 봉쇄나 거리두기 외에는 <br>전파 차단이 사실상 어렵습니다. <br><br>Q6. 전 세계가 위드코로나로 가는 분위기였는데 앞으로 어떻게 되나요? 경제도 영향이 클 것 같은데요.<br> <br>전 세계 증시는 오미크론 변이 이후 폭락했습니다. <br> <br>일상 회복 기대에 그동안 에너지,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실물경제와 소비도 기지개를 켜는 시점이었는데 말 그대로 오미크론이 <br>달아오르는 엔진에 찬물을 끼얹은 겁니다. <br> <br>세계 증시와 현물시장 추가 폭락은 물론 내년 금리 인상에도 제동이 걸릴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. <br><br>트래블 버블 등 해외 여행도 다시 빗장 건 봉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<br> <br>이제 좀 일상으로 가나했는데, 답답한 상황이네요. 허욱 기자 수고하셨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