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집 팔려는 사람은 양도세 부담 때문에 못 팔고 집 사려는 사람은 대출이 묶인 데다 확 늘어난 보유세 떄문에 망설이게 됩니다. <br> <br>서울 주택 시장은 사지도 팔지도 값이 안정되지도 않은, 그야말로 거래 자체가 얼어붙었습니다.<br> <br>박정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3800세대 아파트. <br> <br>대단지 규모지만 이 달 들어 이뤄진 매매는 5건이 채 안됩니다. <br><br>올해 1월 5,769건에 이르렀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9월 절반 이하로 감소하더니 이번 달에는 454건으로 뚝 떨어졌습니다. <br><br>강화된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시장이 꽁꽁 얼었습니다. <br> <br>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으려고해도 양도세 중과로 부담이 크기 때문에 매물 자체가 늘기 어렵고, <br> <br>매수자 역시 가격 관망세에다 고강도 대출 규제때문에 '내집 마련'이 쉽지 않은 때인겁니다. <br> <br>종부세를 포함한 보유세 인상 타격이 상대적으로 컸던 강남 역시 '거래 절벽'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[허준/ 강남구 대치동 공인중개사 대표] <br>"하나의 규제가 아니라 이중, 삼중 규제기 때문에 귀찮아서라도 '안 팔고 안 산다'예요. 새 정부가 들어서야 매매 거래나 규제 완화를 보고 이런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을까. 버티는 거죠." <br> <br>하지만 이렇게 움츠러든 부동산 시장이 집값 안정화로 이어지는 것에 대해선 섣불리 판단하기 어렵다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[심교언/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각종 규제, 세금 때문에 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 눈치보기 하는 장세다. 내년에 임대차법 통과되고 한 번 돌잖아요. 그때까진 물량이 계속 적고 그런 상황이 연결될 것이다." <br> <br>서울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는 적어도 내년 대선까지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뚜렷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정다은<br /><br /><br />박정서 기자 e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