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오미크론 진앙' 아프리카발 입국 '빗장'…방역 규제도 더 바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 출현으로 각국이 아프리카 국가를 상대로 속속 입국 및 여행 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창 코로나 재확산 차단에 부심하던 유럽은 방역 규제를 더 조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전 대륙에서 확인된 가운데 각국이 봉쇄조치를 통한 감염 확산 방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오미크론이 최초 보고된 아프리카 보츠와나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외도 인근 국가에서 오는 항공편을 중단하거나 자국민 외 입국 금지 등의 조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, 이스라엘을 시작으로 유럽연합, EU 27개 회원국과 미국은 물론이고 인도네시아, 네팔 등 아시아·태평양 국가들도 속속 빗장을 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가 계속 국경을 넘어 확산한다면 오랜만에 찾아온 '트래블 버블'도 다시 깨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각국의 입국 차단 조치에 남아공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세계 부유한 나라들은 여행을 금지하는 대신 개발도상국들이 국민들에게 충분한 백신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남아공 정부는 물론 세계보건기구, WHO 내에서도 입국 제한은 과도한 규제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코로나19 재확산 차단에 부심해온 유럽 각국은 이번 오미크론 감염 사태가 또 다른 확산의 불씨가 되지는 않을까 우려하며 방역 규제를 서둘러 시행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영국은 30일부터 대중교통과 상점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합니다.<br /><br />네덜란드는 3주간 오후 5시부터 카페, 미술관, 극장 등을 닫는 등 야간 통행금지를 도입했습니다.<br /><br />프랑스 보건부는 오미크론 확진자와 접촉이 있다면 백신을 맞았더라도 자가격리하라고 권고하는 문서를 각 기관에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 (jin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