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위험도 한 주 만에 '매우 높음'…중증병상 포화상태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말 검사 감소 영향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,300명대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수도권뿐 아니라 전국의 중환자 병상이 포화 직전인데다 사망과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자 정부는 유행 위험도를 한 주 만에 전국 모두 '매우 높음'으로 격상했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요일 나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,309명, 4,000명을 오르내리던 이전보다 다소 줄었지만 주말 영향일 뿐, 방역 지표는 전방위 적신호가 들어온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우선, 정부가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,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등을 토대로 내놓는 코로나19 유행 위험도가 지난주 전국 단위에서 일주일 만에 최고 단계인 '매우 높음'에 도달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은 2주째 '매우 높음'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상황이 이렇자 방역당국은 "추가적 일상회복 단계 이행은 불가능하다"고 못 박고 "악화 추세를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방역 강화대책이 필요하다"는 평가를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의료대응 체계가 위험 수위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위험 요인입니다.<br /><br /> "위중증 환자도 빠르게 늘어나 병상 배정을 기다리는 환자도 1,000여 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수도권의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이 86.55%로 치솟으면서, 이제 수도권 중증 병상은 96개만 남았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에서 하루 이상 병상 배정을 기다리는 환자는 1,149명, 4일 이상 대기 중인 사람도 202명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정부는 세계적 우려를 낳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외국인 전면 입국 금지를 검토하지는 않고 변이 발생국이 추가로 나오면 입국 금지 대상으로 정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또,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유전자증폭, PCR 검사법을 한 달 내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