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나라는 도수 있는 안경을 온라인에서는 살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해외에서는 살 수 있는 나라도 있죠. <br> <br>국민 눈 건강에 지장이 생긴다 과도한 규제다 안경사와 기업들이 맞서왔는데, 3년 만에 정부 주도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> <br>이제 도수만 알면 매장 안 가고도 안경 살 수 있는 건지, 박정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올해 나스닥에 상장한 미국 온라인 안경 판매 업체의 사이트입니다. <br> <br>소비자가 자신의 도수 등 렌즈 정보를 올리고 어울리는 안경테를 고르면 집까지 배송해주는 서비스로 지난해 40억 원 상당의 매출을 올렸습니다. <br> <br>국내서도 가상으로 안경 이것저것 써보고 고를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반쪽입니다. <br> <br>렌즈는 인터넷에서 살 수 없어 안경테가 배송돼 오면 안경점에 가서 렌즈를 끼워 넣어야 합니다.<br> <br>의료기사법에 따라 "안경과 콘택트렌즈는 안경업소에서만 판매해야 한다"는 규정 때문입니다. <br><br>2019년부터 규제 샌드박스에 올랐지만 계속 평행선만 달리다 최근 정부 상생조정기구를 통해 힘겹게 합의에 도달했습니다. <br> <br>정밀 검사와 진단을 요하는 이중 또는 다초점 렌즈는 빼고 단초점 렌즈만 판매하는 대신 가상착용 기술을 안경점과 공유하는 조건입니다. <br><br>이를 위해 복지부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한편 온라인 판매가 국민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합동 연구도 진행됩니다. <br><br>한고비는 넘겼지만 실제 안경 온라인 판매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라운즈/ 안경 온라인 판매 업체] <br>"(판매)기간까지 가이드가 나온 상황은 아닙니다. 가이드라인이 먼저 마련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. 그 기준이라는 건 정하기 되게 어렵잖아요.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정부는 그동안 갈등이 계속되어 온 보건의료 분야 첫 합의인 만큼 온라인 판로를 개척하고 안경사와 상생 방안도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승훈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정서 기자 e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