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합금지까지 검토…4단계급 거리두기 이르면 내일 발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상회복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한 달 만에 멈출 위기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확진자 폭증과 새 변이 오미크론 출현으로 방역에 큰 구멍이 뚫린 탓인데요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연이어 논의 중인데 내일(3일)모임 인원 축소 등 거리두기 4단계급 조치가 나올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천정부지로 치솟는 확진자 수에 단계적 일상회복이 중대 기로에 섰습니다.<br /><br />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5,000명마저 넘어 연일 최대기록을 세우고, 새 변이 오미크론까지 국내에서 감염자가 확인되며 방역체계와 의료체계 모두 무너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핵심 방역지표인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비상계획 발동 기준인 75%를 한참 뛰어넘어 이제 90%에 육박합니다.<br /><br />의료계에선 단계적 일상회복 일시 중단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역 강화가 늦으면 늦을수록 확산세 차단에 더 많은 시간과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한주마다 1.3배씩 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지금 5,000명대라고 하면 다음 주면 6,500명이 나올 수 있는 상황입니다. 통제를 하지 않으면 유행이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…"<br /><br />방역당국도 전문가 긴급회의를 연이어 소집하며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10명까지인 현행 수도권의 사적 모임 규모를 줄이고, 4명까지인 식당·카페 내 미접종자 가능 인원도 축소하는 방안이 우선 논의 대상입니다.<br /><br />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도 오후 10시까지로 다시 제한하고, 유흥시설에 사실상의 영업금지인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사실상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수준으로 돌아가는 셈입니다.<br /><br />당국은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회의와 각 부처 간 논의를 거쳐 이르면 3일 방역강화 조치를 발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