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오미크론은 대유행 종식 신호?…“아직은 조심”

2021-12-02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남아프리카공화국은 이미 오미크론이 확진자 4분의 3을 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낙 전파력이 세 코로나 지배종이 돼버린 건데요. <br> <br>그런데 일각에서는 증상이 약한 오미크론이 델타를 밀어내고 지배종이 되면 오히려 감염병 종식을 앞당길 수 있다는 주장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보도 보시고 오미크론 정체를 아는 기자와 들여다보겠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지난달 22일 남아공을 여행하고 돌아온 미국인 확진자가 오미크론 감염자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 미국에서 나온 첫 오미크론 사례로 모더나 백신 접종을 마쳤지만 감염을 막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그랜트 콜팩스 / 미국 샌프란시스코 보건당국자] <br>“그들은 모더나 백신을 접종했지만 부스터는 맞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. 경미한 증상을 보였다가 현재 나아지는 중입니다.” <br> <br>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보고된 오미크론 감염 사례는 이제 30개국 이상으로 확산됐습니다. <br> <br> 이틀 새 4배 가까이 신규 확진자가 폭증한 남아공에서는 지난달 분석된 샘플 중 4분의 3이 오미크론이었습니다. <br> <br> 오미크론이 순식간에 델타를 밀어내고 우세 변이가 된 겁니다. <br> <br> 다만 오미크론이 처음 알려진 보츠와나에선 확진자 19명 중 16명이 무증상, 나머지는 증상이 가벼워 치명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 분석도 나왔습니다. <br>  <br>데일리메일은 독일 전문가를 인용해 오미크론이 감염력이 높은 대신 일반 호흡기질환처럼 가벼운 증상을 보여 종식을 앞당길 수 있는 '성탄 선물'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낙관론을 경계하는 목소리가 지배적입니다. <br> <br>[정재훈 /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] <br>“전파력이 높아졌지만 치명률이 그대로 유지된 사례가 델타변이바이러스거든요. 아직은 어떤 추측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봅니다.” <br> <br> 과학자들은 변이 특성을 정밀히 파악하려면 2주 이상 걸릴 것으로 보고 있고 WHO는 남아공에서 일부 중증 환자도 보고됐다며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