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헝다, 또 디폴트 중대 위기…"3천억원 상환 어렵다"

2021-12-05 0 Dailymotion

헝다, 또 디폴트 중대 위기…"3천억원 상환 어렵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유동성 위기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금 부족으로 채무를 갚지 못할 수 있다면서 사실상 채무불이행, 디폴트를 예고하고 나섰는데요.<br /><br />중국 정부도 그 가능성에 대비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 증권거래소 홈페이지입니다.<br /><br />지난 금요일 심야 시간대 헝다가 디폴트 위기 상황을 기습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2억6천만 달러, 우리돈 약 3,075억 원 상당의 채무보증 의무를 이행하라는 요구를 받았는데, 상환이 어려울 수 있다고 밝힌 겁니다.<br /><br />채무 내용과 상환 마감일과 같은 구체 내용은 담기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현지에선 해당 채무가 헝다 관계사인 홍콩의 쥐샹이 발행한 달러 채권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쥐샹이 지난 10월 만기가 도래한 달러 채권을 못 갚자 채권자들이 그 보증사인 헝다에 대신 갚으라고 요구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헝다가 실제 이 채무를 갚지 못하면 공식 디폴트가 선언되고, 이는 다시 대규모 연쇄 디폴트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더 큰 문제는 이 채무가 전체 헝다 사태에서 '빙산의 일각'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지난 6월 말 기준 헝다의 총부채는 1조9,665억 위안, 우리 돈으로 약 365조원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헝다 사태를 '개별사건'으로 규정하며 그 파급력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헝다의 디폴트 이후 시장 안정에 주력하겠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인민은행은 "헝다 위기의 주 원인은 경영을 제대로 못하고 맹목적인 확장을 추구한 데서 비롯됐다"며 "중장기적으론 시장의 정상적 융자 기능에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각에선 헝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자자오예도 디폴트 위기에 처하면서 중국 경제, 더 나아가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