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유류세까지 깎아줬지만 LPG 가격마저 7년 만에 최고로 올랐습니다. <br><br>식당이나 택시에서 많이 쓰는 연료라 서민들이 또 직격탄을 맞게 생겼습니다.<br> <br>조현선 기자입니다<br><br>[리포트]<br>강한 화력으로 재료를 볶아내 불 맛이 매력인 중식. <br> <br>불의 세기가 곧 맛이기에 중식당에서는 LPG 가스가 필수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LPG 가격이 또 올랐습니다. <br><br>지난달 kg당 165원 인상됐는데 이달 들어 88원이 더 올라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 중입니다.<br> <br>산업용은 kg당 1405.9원, 택시 등에 이용되는 부탄은 최대 1721.4원까지 오릅니다. <br> <br>최근 유류세 인하분보다 훨씬 더 오른 셈인데 중식당을 운영하는 김철진 씨는 답답하기만 합니다. <br> <br>[중식당 운영자] <br>"중국집 음식은 불 맛이라고 화력인데요. 가스는 손님이 적다고 가스비가 반쯤 나오고 그런 게 아니거든요. 출근하면 물 데우고 모든 데에 가스를 다 쓰니까." <br> <br>여기다 코로나19 확산세에 물가, 인건비 등 삼중고로 아예 폐업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중식당 운영자] <br>재료비, 인건비, 가스값도 오르고 "가게를 언제 접어야 할까" 생각하고 있습니다. 엎친 데 덮치고 빠져나갈 구멍이 없는 상황까지 온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실제로 지난 3분기 밥상물가는 지난해보다 5% 더 증가했습니다. <br> <br>34개 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입니다. <br><br>달걀 51.6%, 마늘 28%, 돼지고기 12.4% 등 자주 사 먹는 식료품 대부분이 코로나 사태 이후 거의 2년 내내 오르고 있는 겁니다.<br> <br>델타 확산과 오미크론 등장으로 성장 엔진에 빨간 불이 켜진 가운데 물가 고공행진은 계속되고 있어 서민들의 삶은 갈수록 <br>팍팍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차태윤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