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해외 상황도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. <br><br>미국 뉴욕의 경우, '백신 패스'가 없는 어린이들은 음식점이나 체육관도 갈 수 없도록 하자, 부모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권갑구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 기자와 학부모들의 걱정과 오해, 더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뉴욕시가 세계 최초로 5살에서 11살 사이 어린이의 백신 패스를 도입합니다. <br><br>이런 내용은 뉴욕 시의 모든 민간기업 18만 4천여 곳의 백신 접종 의무화를 담은 "Key 2 NYC", 이른바 '백신 패스' 정책에 포함됐습니다. <br> <br>[빌 더블라지오 / 뉴욕시장] <br>"이 조치는 아동과 가족 모두 안전하게 지켜줄 겁니다. 아이에게 백신 접종시키세요." <br> <br>오는 14일부터 5살에서 11살 사이 어린이도 백신을 최소 1차례 맞아야 뉴욕 내 실내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할 수 있게 됩니다. <br><br>부모들은 아이들에게 백신 접종 자체를 강요한다며 어린이 백신 패스를 지속해서 반대해왔습니다. <br> <br>[매튜 올리버 / 학부모(지난달 16일)] <br>"정부의 도 넘은 불법 행위와 권력 남용에 반대하는 몇천 명의 부모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이와 같은 반발은 세계 각국에서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벨기에 등 유럽에서는 정부가 접종을 강제하고 있다며 "아이들은 실험 대상이 아니"라는 문구도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미 이스라엘과 캐나다, 중국은 어린이 접종을 하고 있으며 프랑스도 이달 10일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장 카스텍스 / 프랑스 총리] <br>5살에서 11살 사이 아동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이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. <br> <br>현재 대안은 백신 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입장입니다. <br> <br>[윌렘 하네콤 / 아프리카보건연구소 소장] <br>"백신 접종이 가능하면 접종해야 합니다. 오미크론에 걸려 위중증이나 숨지는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방법입니다." <br> <br>어린이 백신 접종 찬반 논란 속에서도 신규 확진자의 절반가량이 어린이로 분류되는 만큼 각국의 접종 정책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갑구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