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제 재택치료를 하는 사람은 서울에서만 9천 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.<br><br>가족 간 감염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임시숙소로 나오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민준 기자가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("밥 잘 먹고 있어?") 네! <br>("밥 잘 먹어야 코로나 나가는 거지?") 네! <br> <br>60대 이모 씨가 손주들과 통화하며 아쉬움을 달랩니다. <br> <br>딸과 사위, 손주들과 함께 살던 이 씨는 나흘째 홀로 호텔방에서 지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주 손주 2명과 사위가 확진판정을 받으면서 시작된 재택치료는 악몽 같았습니다. <br> <br>[이모 씨 / 재택치료자 가족] <br>"(재택치료는) 전쟁보다 더하죠. 가족 간에 만나지도 못하지, 밥도 같이 못먹지, 아기들 밥 가져다주고 옆을 못가는 거야. <br> <br>'너 코 마스크 써' '먹어' '먹어' 그러고 있는 거야." <br><br>결국 이 씨는 구청에서 마련해준 임시 숙소로 거처를 옮겼습니다. <br> <br>기저질환이 있는 데다 손주들이 자꾸 할머니 품에 안기려고 하다보니 추가 감염이 우려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임시거처는 구청이 마련해준 관광호텔이었습니다. <br> <br>원래 숙박비가 하루에 10만 원이었지만 자비로 2만 원만 부담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숙박비 부담은 덜하지만 아직도 집에 남은 가족 걱정이 태산입니다. <br> <br>[이모 씨/ 재택치료자 가족] <br>"아이들이 괜찮을까 많이 걱정되요 사실은. 애들이 너무 불쌍한 거야, 꼬맹이들이 6살 먹은 애가 (집에서) 마스크 쓰고 있으니까"<br> <br>친동생이 확진 판정을 받은 30대 김모 씨도 나흘 전 거처를 호텔로 옮겼습니다. <br> <br>[김모 씨/ 재택치료자 가족] <br>"제가 외부에 있다고 해줘야지. 회사 측에서 근무할 수 있게 해주니까. 같이 살면 아무래도 위험성이 좀 있잖아요." <br> <br>집에서 나와 살다보니 비용 지출이 걱정입니다. <br> <br>[김모 씨 / 재택치료자 가족] <br>"식비가 많이 들죠. 아낀다고 편의점 음식을 먹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. 배달음식도 건강하지도 않고, 잘 안 먹는 음식을 먹고 있어요." <br> <br>서울의 재택치료 확진자는 8천 7백여 명. <br> <br>확진자 못지 않게 가족들도 전쟁 같은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준희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