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] <br />12월 8일 수요일 중대본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 오늘 중대본에서는 재택치료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는 임상적 특성상 80% 이상 확진자가 무증상, 경증 환자입니다.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입원 치료는 꼭 필요한 환자 중심으로 집중하고 대부분 환자를 재택치료로 관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은 2.78%, 싱가포르는 6.95%, 독일 4.69%, 일본 13.8%의 환자들만이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이외 환자들은 대부분 자택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 금년 초부터 재택치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재택치료 비중은 낮는 편입니다. <br /> <br />12월 1주 평균으로 전체 확진자의 50.2%가 재택치료를 받고 있으며 그 외의 확진자들은 입원치료나 또는 생활치료센터의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. 지금보다 좀 더 재택치료를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재택치료를 좀 더 활성화하기 위해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. 우선 지자체의 재택치료 추진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. 시군구별로 재택치료 추진단을 부단체장 책임하에 보건소의 행정인력을 재택치료 업무에 추가적으로 배치합니다. <br /> <br />관리의료기관과 단기 외래진료센터 등 재택치료에 필요한 의료 인프라도 계속 확충할 계획입니다. 관리 의료기관을 20개 추가로 지정해서 현재 216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단기 외래진료센터도 6개소 운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대한의사협회와 서울시 의사회 등과 협력하여 동네 의원이 재택치료에 참여하는 방안도 시범적으로 시행할 예정입니다. 경증 환자의 임상 경과를 고려하여 의료기관의 건강 모니터링 기간을 현행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건강 모니터링 기간은 연장할 수 있으며 나머지 3일 동안은 자가격리를 실시합니다. 또한 내년 1월부터는 고령층 재택치료자 등을 대상으로 경구용 치료제도 지원할 예정입니다. 이와 함께 응급 상황에 대비한 이송 체계도 강화합니다. <br /> <br />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사전 지정 이송 의료기관을 지정하고 이들 병원에는 응급 전원용 병상을 1개 이상 상시 확보하도록 하겠습니다. 또한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개인 차량과 방역 택시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송 체계도 오늘부터 확대합니다. <br /> <br />마지막으로 가족의 공동 격리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가족 격리자의 격리 기간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1120811022384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