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자영업자들도 요즘 일손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있죠. <br> <br>이런 상황에서 지난 6일부터 방역패스가 카페, 식당, 스터디카페까지 확대되며, 직원 없이 일하는 가게나 무인 업체들은 장사 포기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카페를 운영하는 최경섭 씨. <br> <br>비용을 한 푼이라도 줄이기 위해 직원을 두지 않고 혼자서 음료 제조와 설거지, 청소까지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주문도 직접 받고 설거지까지 해야 하니까. 손님 많을 때는 설거지하다 하루가 지나가는 경우도 많아요. 뒤쪽을 쳐다보기도 힘든 상황이죠" <br><br>카페와 식당도 6일부터 방역패스 의무적용시설이 되면서 업주는 손님의 백신 접종 이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최 씨처럼 혼자서 가게를 운영하는 1인 사업장에선 주문을 받으면서 손님의 백신 이력을 일일이 확인하는게 불가능하다고 토로합니다. <br> <br>[최경섭 / 카페 운영(1인 사업장)] <br>“불가능한 것을 왜하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. 정말 (방역패스 도입을) 시행한다면 '장사를 포기해야하나' 라는 생각도 들었어요. ” <br> <br>무인으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나 코인 노래방의 경우, 방역패스를 확인할 직원을 따로 둬야하는 상황. <br> <br>[최부금 / 무인 스터디카페 운영] <br>"직원을 둘 생각을 안하고 매장을 오픈 한건데 막상 알바를 구한다고 하더라도 24시간이니까 시급 만원 씩 줘야할 거고요. 나라에 협조하자고 인건비 700만 원 넘는 알바를 쓸 수 있을까요." <br><br>방역당국은 이번 주 일요일까지 백신패스 계도기간을 두고 13일부터는 지침을 위반한 업주와 손님에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[카페 손님] <br>“소규모 사업장은 굳이 해야되나 하는 생각도 들고 대형사업장은 인원(손님)이 워낙 많으니까 꼼꼼히 따져서. 차이를 두고 시행을 해야….” <br> <br>소상공인연합회는 방역패스 확대로 자영업자의 매출타격이 예상된다며 온전한 손실 보상을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권재우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