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한기 사망 당혹…대장동 '윗선' 수사 시험대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한기 전 본부장의 사망에 그동안 대장동 의혹을 수사해 온 검찰도 당혹스러운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검찰은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애도를 표시했는데요, 유 전 본부장을 구속한 뒤 수사를 이어가려던 검찰의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곽준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구속영장을 청구한 지 만 하루도 되지 않아 들려온 유한기 전 본부장 사망 소식에 검찰도 술렁였습니다.<br /><br />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이번 불행한 일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며 진심으로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짧은 입장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검찰은 그동안 대장동 개발 의혹에 연루된 유 전 본부장을 10월 중순과 이달 초, 지난 7일까지 모두 세 차례 불러 조사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고는 남욱 변호사와 정영학 회계사 등 대장동 민간업자들에게 뇌물 2억 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 9일 영장을 청구했습니다.<br /><br />구속 여부를 가릴 법원의 영장심사는 다음 주 화요일 오전 열릴 예정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유 전 본부장이 극단적 선택을 하면서 수사는 급제동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일단 검찰은 유 전 본부장의 뇌물 혐의에 대해 '공소권 없음'으로 불기소 처분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대장동 개발에 걸림돌이었던 황무성 공사 초대 사장의 사퇴 종용 의혹 수사는 이어가기로 했지만 역시 차질이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영장에 사퇴 강요 의혹을 넣지 않아 '윗선' 수사 의지를 의심받은 검찰은 유 전 본부장 사망으로 더욱 궁지에 몰리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사퇴 종용의 '윗선' 여부뿐만 아니라 대장동 개발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배임 의혹을 설명해줄 중요 연결고리가 끊겼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유 전 본부장은 황 전 사장이 공개한 녹취록에서 윗선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던 인물입니다.<br /><br />정치권에선 특검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검찰이 정진상 정책실장을 비롯해 대장동 개발 결재 라인에 있던 고위층에 대한 조사에 나설 수 있을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. (kwak_ka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