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현재까지 알려진 오미크론 특징은…"감염력 세지만 덜 위험"

2021-12-11 2 Dailymotion

현재까지 알려진 오미크론 특징은…"감염력 세지만 덜 위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의 새 변이 오미크론이 세계 각지로 확산하고 있지만 얼마나 빠르게 전파되는지 또 얼마나 위협적인지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알려진 오미크론의 특징은 무엇인지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은 어떤 것인지 한상용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 감염 사례가 남아프리카에서 확인돼 세계보건기구 WHO에 처음 보고된 날은 지난달 24일.<br /><br />오미크론의 기원과 정체가 아직 속 시원히 규명되지 않았지만, 그 의문점은 하나둘 조금씩 풀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염성은 기존 델타 변이보다 빠르다는 게 보건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입니다.<br /><br />첫 확진자가 보고된 이후 13일 만에 전 세계 55개국에서 감염자가 나왔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합니다.<br /><br />남아프리카공화국에선 한 달 전만 해도 하루 평균 300명 미만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지만, 지금은 오미크론 확진자만 하루 1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전염성이 강한 이유로는 인체에 결합하는 부위인 스파이크 유전자의 돌연변이들이 서로의 결점을 보완해 침투력을 높였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이 유전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필요한 스파이크 단백질 생성에 관여하는데, 오미크론엔 델타보다 2배 많은 32개의 돌연변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오미크론 감염자의 중증도 진행 상황이 심각하진 않다는 게 검출국 보건 당국의 일치된 소견입니다.<br /><br />유럽의약품청도 감염 사례들이 대부분 경증으로 보인다고 밝혔고, WHO는 오미크론 관련 사망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미크론 감염자들을 직접 관찰한 남아공 의료진도 기존 변이들보다 증상이 훨씬 가볍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오미크론이 많은 돌연변이를 갖고 있어 낙관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 접종자가 늘어난 상황에서도 오미크론이 빠르게 번진 건 면역을 회피하는 특성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현재 백신 제조업체들도 이를 염두에 두고 부스터샷과 맞춤형 백신을 개발 중입니다.<br /><br />다행히 일부 백신이 부분적으로나마 오미크론에 예방효과가 있고 부스터 샷을 접종했거나 코로나 완치 이력의 환자의 경우 백신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이코노미스트 등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오미크론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선 여전히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유전자증폭 검사에서 다른 변이와 잘 구분되지 않는 이른바 '스텔스' 오미크론 변이까지 발견됐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