누적된 공급난에 전세 불안…"내년도 집값 오른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집값이 다소 안정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, 내년에도 대부분 지역 집값은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수요와 공급 예측 실패로 공급 부족이 누적된 탓이라는 설명인데요.<br /><br />최지숙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 정부 4년여간 2배 이상으로 뛴 서울 아파트값.<br /><br />숨만 쉬고 월급을 모아도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기까진 38년이 걸린다는 시민단체의 분석이 나온 가운데, 내년 전망도 밝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주택산업연구원은 내년에도 연간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각각 2.5%와 3.5% 오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누적된 공급 부족과 전·월세 시장 불안 탓에, 공급 과잉이 발생한 일부 지역 외엔 하락세 반전이 어렵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주산연은 공급 부족이 누적된 이유로 정부가 인허가 물량을 공급 물량으로 오판한 점을 꼽았습니다.<br /><br />인허가를 받아도 경기나 수익성에 따라 사업 일정이 천차만별인데, 이를 토대로 공급이 충분하다고 봤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주산연이 분석한 최근 5년간 서울의 매매 수급지수는 69.6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이 지수는 100 미만이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함을 뜻합니다.<br /><br />다른 전문가들 역시 상승폭은 올해보다 줄겠지만, 내년에도 집값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<br /><br /> "공급 부족은 연결되고 있고 전세난이 계속되기 때문에 3~4% 정도는 연간 상승률로 봤을 때, 오를 것이라고 보입니다."<br /><br /> "수도권 기준으로 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지 않고 전세 재계약 만기가 돌아오는 세입자들이 집을 살 수 있기 때문에 상승폭은 크지 않겠지만 상승세는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"<br /><br />정부의 뒤늦은 공급 확대가 가시적 효과로 나타나기까진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주택시장의 공급난은 당분간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