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수처가 조선, 중앙, 문화일보와 연합뉴스, 헤럴드경제 기자까지 광범위하게 통신 조회를 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조국 흑서 저자 김경률 회계사와 민변 사무차장 출신 변호사도 통신조회를 당했는데 공수처는 통화조회 근거는 공개하지 않아 사찰 논란까지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통합 수능 첫해, 이과생들의 문과 침공 현실화. <br /> <br />입시업계 조사에 따르면 이과생의 20%가 문과를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수능에서 똑같은 점수를 받아도 이과생 선택과목의 표준점수가 10점 이상 높을 수 있어, 논란도 거세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이재명과 윤석열 두 후보에 대한 검증도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후보는 다주택 양도세 중과 유예 등 당론과 다른 예측 불허 발언으로 혼란이 불거졌고, 윤석열 후보는 부인 김건희 씨의 허위 경력 등 각종 의혹이 해결할 과제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우물쭈물하는 사이 사망자 100명 육박. <br /> <br />의료 붕괴로 인한 비판에 떠밀려서야 방역 강화 조치가 나오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사적 모임이 다시 4명으로 제한되고 영업시간도 밤 9시나 10시로 줄어들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오늘 거리두기 복귀를 선언하고, 모레 구체적 방역 강화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방역패스 인증문자가 45분 지나서야 왔다. <br /> <br />QR 체크인 먹통에 직장인들이 이틀째 점심을 '강제 포기'해야 하는 사례가 속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환자이송 체계도 무너졌습니다. <br /> <br />119 구급대원들이 응급 신고를 받고 출동해도 병상을 전전하다 결국 다시 집에 데려다 놓는 경우가 부지기수라는, 현장 증언입니다. <br /> <br />제주가 흔들렸습니다. <br /> <br />놀란 시민들이 긴급 대피했는데, 진도 4.9로, 올해 한반도에 있었던 지진 중 가장 규모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가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권유를 받은 적 없다고 밝힌 데 대해, <br /> <br />미 국무부가 "분명히 동맹들과 협의했다"며 우회적으로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간 브리핑 김현아입니다.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121506020248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