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규모 4.9 지진에 제주 흔들…강진 원인과 전망

2021-12-15 0 Dailymotion

규모 4.9 지진에 제주 흔들…강진 원인과 전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 제주 해역에서 올들어 가장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큰 피해는 없었지만 경주와 포항에 이은 강진이 제주에서도 일어나 한반도 지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상전문기자 연결해 지진 원인과 전망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동혁 기자. 어제 제주 지진의 규모가 굉장히 컸습니다.<br /><br />규모에 비해선 큰 피해가 없었는데, 원인이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제 오후 5시 19분에 제주 서쪽 해역에서 규모 4.9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올들어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었는데요.<br /><br />주택 창문이 깨지는 등 지진 피해와 관련해서 110여 건의 신고가 소방당국에 접수됐지만 큰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강진임에도 피해가 적었던 건 서귀포 서남쪽에서 41km 떨어진 해상에서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지진 피해는 규모 뿐만 아니라 내륙에 인구가 얼마나 밀집해 있는지, 도시의 발달 정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납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이 정도의 지진이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 발생하면 우려할 만한 수준의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진의 발생 깊이가 지하 17km로 비교적 깊었던 것도 피해를 줄인 요인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또 단층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향이동단층 운동으로 지진이 일어나서 해일을 일으킬 정도의 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2016년과 2017년에 발생한 경주와 포항 지진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지 않았습니까.<br /><br />그래서 혹시 내륙에서 또 이런 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는 것 아닌지 불안감도 사실 있거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과거 제주 지진의 발생 양상을 보면 제주엔 남북 방향의 단층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.<br /><br />이곳에서 최근 규모 3.0 이상의 지진이 8번 있었고, 2005년에도 규모 3.9의 강한 지진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제주 지역에 발달한 단층대는 한라산까지 연결되어 있어 뜨거운 열기가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큰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.<br /><br />제주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.9 지진은 2016과 2017년 발생한 경주, 포항 지진과는 양상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활성단층이 몰려 있는 경주와 포항 등 영남 지역은 지진에 대한 위험성이 여전히 높은 곳 입니다.<br /><br />영남 지역은 경주와 포항 강진 이후 지질 환경이 많이 달라지면서 여러 단층대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언제든 일어날 환경이 만들어져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역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. 이렇게 봐야겠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실제로 2011년도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 강한 지진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규모 5.0 이상의 강진이 관측 이래 10번 일어났는데요.<br /><br />그 가운데 절반이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인 경주, 포항 지진 이외에도 충남과 울산, 백령도 등 서해와 동해 일대에서도 규모 5.0 안팎의 강진이 일어나곤 합니다.<br /><br />또 올들어 규모 2.0 이상의 지진이 65차례나 기록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아직 알지 못하는 활성단층이 존재할 수도 있어 규모 5.0이 넘는 지진은 국내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주 강진 이후 여진이 꾸준히 일어나고 있다고 기상청이 밝혔는데요. 괜찮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규모 4.9의 본진 이후 밤사이 규모 1.7 등의 여진이 13건 발생했지만 피해를 줄 정도의 흔들림은 아닙니다.<br /><br />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난 뒤엔 항상 크고 작은 여진들이 잇따르게 되는데요.<br /><br />강진이 일어난 지각판에 응력이 아직 축적돼 있기 때문에 앞으로 여진은 물론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충분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여진이 수개월에서 길게는 1년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제주 지역에 다시 강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내륙 뿐 아니라 해저 단층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