단계적 일상회복에도 대면 서비스업 고용 '한파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가 9개월째 증가하며 고용 지표 호조가 이어졌는데요.<br /><br />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달이었지만, 대면 서비스 업종에선 오히려 취업자가 크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1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5만 3,000명 증가하며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전반적인 고용 지표에선 개선세가 나타났지만, 지난달은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된 달이었음에도 대면 서비스업종의 사정은 오히려 악화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 대면 서비스업인 도소매업과 숙박ㆍ음식점업에서 취업자가 각각 12만 3,000명, 8만 6,000명 줄어든 겁니다.<br /><br /> "음식·숙박업 쪽에서는 다소 줄었는데, 도소매 일용직, 음식·주점 쪽에서 일용직 부분 쪽에서 축소가 되다 보니까 줄었다…"<br /><br />특히, 대표적인 코로나19 피해 업종인 숙박과 음식점업 취업자는 지난 9월과 10월 2~3만 명대 증가세를 보이다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.<br /><br />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4,000명 감소한 반면, '나홀로 사장님'은 4만 2,000명 늘어 자영업계의 고용 창출 능력이 점점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 "11월 이후 위드 코로나 데이터를 보면 (매출이) 2% 올랐나, 전반적으로 온기를 느끼기엔 부족했던 측면이 있고 문제는 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…"<br /><br />반면,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선 취업자가 27만 9,000명 늘었고 정보통신업에서도 10만 6,000명이 늘었는데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고용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할 필요를 강조하고, 최근 코로나19 확산세로 고용시장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고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