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역에서 발생한 강진, 해일 일으켜 2차 피해 <br />일본 대지진과 인도네시아 지진이 대표적 사례 <br />인근 해역서 규모 4.9 지진…해일 발생 없어<br /><br /> <br />제주도 지진은 가까운 해역에서 발생했지만 다행히 해일을 동반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.하지만 규모가 무척 강해 여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보통 해일을 동반합니다. <br /> <br />일본 대지진과 인도네시아 지진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. <br /> <br />진앙 주변 해안가가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 지진은 해안가로부터 불과 30여km 떨어진 해역에서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규모도 4.9로 올해 가장 강한 지진으로 해일 피해가 우려됐지만, 다행히 해일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단층 형태가 원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단층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바다가 출렁 움직이며 해일이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제주도 지진은 단층면이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해일이 만들어지지 않은 겁니다. <br /> <br />[유상진 / 기상청 지진화산정책과장 : 이번 지진은 규모 4.9 지진이고, 주향이동단층 운동이기 때문에 지진해일 일으킬 만한 에너지는 가지고 있지 않다….] <br /> <br />규모 4.9의 지진이 발생한 여파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진앙 부근에서 하루 동안에만 여진이 무려 15차례나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여진은 규모 2.8로 제주도 전 지역에서 조용한 상태에서 흔들림을 느낄 수 있는 '진도 2'의 진동이 감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앞으로 최장 1년 정도는 소규모 여진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1121522165178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