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돈줄' 더 조이는 미국...국내 증시는 '무덤덤' / YTN

2021-12-16 1 Dailymotion

■ 진행 : 김정아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태현 /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'돈줄 조이기'의 속도를 높이기로 했습니다. 국내 경제에도 영향이 불가피해 보이는데요. 다양한 경제 이슈, 경제부 조태현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미국에서 통화정책과 관련한 소식이 오늘 새벽에 전해졌는데 일단 내용부터 좀 볼까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은행 같은 중앙은행인데요. 여기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열었습니다. FOMC라고 하는데 우리로 치면 금융통화위원회다, 이렇게 볼 수 있겠는데요. 눈에 띄는 점이 한 세 가지 정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는 일단은 미국이 지난해 3월부터 기준금리를 최저 0%로 해서 사실상 제로 금리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 자체는 기정사실화가 돼 있던 상황이었거든요. <br />그런데 이 회의가 끝나고 나서 참여했던 사람들이 앞으로 금리 전망을 어떻게 보는지, 이걸 점도표라는 걸 공개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보면 내년에 한 세 차례 정도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이 됐어요. 그래서 이건 시장의 예상보다 조금 빠른 속도다, 이렇게 볼 수 있겠고요. 또 하나는 요즘 많이 거론되는 테이퍼링이 있습니다. 이건 자산을 사들이는 걸 축소하는 건데요. 우리가 경제가 안 좋아지면 금리를 낮추고 그다음에 자산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돈을 시중에 풉니다. <br /> <br />이 속도를 조절해서 시중에 자금이 풀리는 속도를 줄이겠다는 거예요. 결과적으로는 거둬들이겠다, 이렇게 볼 수 있는데요. 이런 측면이 또 하나 있었고요. 마지막으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예상되는 변수로 떠올랐다라는 표현이 계속 등장했었는데 여기서 일시적이라는 말이 빠졌습니다.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6.8%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이게 39년 만에 가장 큰 폭이었습니다. 그러니까 물가상승을 그만큼 심각하게 보고 있다. 따라서 지금 이렇게 통화 정책을 조정하는 거다, 이렇게 판단해 볼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내 시장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 같은데 일단 정부는 좀 제한적이라고 보는 것 같아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국내 금리가 사실 미국 금리보다 낮기는 어려운 편이에요. 예를 들어서 안전 자산이라고 하면 어떤 게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21614051713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